신귀만

사진작가, 극단 목화, 'COLLEZIONI KOREA(1996)'
  • 동아시아

    [신귀만의 포토월드] ‘악가무’ 김평호 “소나무 닮고 싶어요”

    “고등학교 1학년 때 풍물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상모돌리기부터 했어요. 다양한 악기를 다뤄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고, 덕분에 기본을 익힐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음악, 특히 장단에 대한 이해를 하게 되어 많은 도움을 받았다. 민속촌에서 단원 생활을 한 후 사찰에서 혹독하게 무용을 시작하게 되었다. 한겨울에 새벽 5시부터 난방도 되지 않는 곳에서 하루 종일…

    더 읽기 »
  • 동아시아

    [신귀만의 포토월드] ‘태평무’ 김선정, “산처럼 휴식 주고 싶어”

    어렸을 때 텔레비전에서 춤추는 모습을 보면 막연히 참 좋아보였다. 그래서 부모님께 학원에 보내달라고 말씀드렸다. 학원에서는 한국무용을 비롯해 발레, 현대 무용을 다양하게 배울 수 있었다. “그렇게 초등학교 4학년 때 무용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예술학교에 가진 않았지만 중학교에는 무용반이 있었어요. 주변에 무용하는 친구들이 많아 같은 고민을 나눌 수 있어서 힘들? 때도 함께 극복해…

    더 읽기 »
  • 동아시아

    [신귀만의 포토월드] ‘진쇠춤’ 노수은 “선비의 마음으로”

    “조선 시대 선비들이 그린 문인화를 들여다보면 선비들의 행보가 보이는 듯 합니다. 한 획 한 획 가다듬어 그렸을 붓의 움직임, 그들은 자연을 그대로 모사(模寫)한 것이 아니라 그 속에 담긴 마음을 그렸던 것입니다.” 무대위에서 춤을 추는 그 순간에는 한 폭의 문인화를 그린다는 생각을 한다. 제 자리에 머물러 있다 어루는 발디딤새에는 정중동(靜中動)의 움직임을…

    더 읽기 »
  • 동아시아

    [신귀만의 포토월드] 내면에서 우러나오는 멋, 박재희

    무용에 대한 최초의 기억은 6살 때 쯤 부채춤 영상을 우연히 보게 된 것이다. 그때 받은 충격은 지금도 선명하게 떠올릴 수 있을 정도로 무용이라는 것에 대해 완전히 매료되었었다. “초등학교 2학년 때 동요에 맞춰 안무를 친구들에게 가르친 후 학교 장기자랑 같은 대회에 내보냈어요. 지금 생각하면 유희에 불과하지만 춤에 관한 관심은 어렸을 때부터…

    더 읽기 »
  • 동아시아

    [신귀만의 포토월드] 여운을 남기는 춤을 추고 싶은 문동주

    시작이 그리 이르진 않았다. 기회 또한 우연히 찾아왔다. “고등학교 때 전학을 가게 됐는데. 2학년쯤 무용을 시작하게 됐습니다. 본격적인 건 3학년 때부터였어요. 그렇게 시작한 무용이 너무 재미있었어요.” 그 후 무용과로 대학에 진학해 만난 손경순 선생님은 자신의 목표가 되었다. “저도 사람들을 빠지게 하는 흡입력 있는 춤을 추고 싶어요. 같은 춤을 여러 번…

    더 읽기 »
  • 동아시아

    [신귀만의 포토월드] 신명이 나는 행복한 춤, 김희경

    어렸을 때 텔레비전에서 춤추는 모습을 보고서 의자 두 개를 이어붙여 무대를 만들고 재롱잔치를 하곤 했다. “그런 모습을 보신 어머니께서 무용학원에 보내셨어요. 초등학교 1학년 때 경주로 이사를 하게 되었지만, 그 후에도 계속 춤을 배웠습니다. 경주에 ‘신라문화제’라는 행사가 있어서 계속 춤을 추게 되었죠.” 지적해주며 조언해 줄 선생님 그렇게 무용과로 대학교에 진학해 정재를…

    더 읽기 »
  • 세계

    [신귀만의 포토월드] 과감한 시도로 전통춤의 발전을 꾀하다, 채상묵

    “어렸을 때 누님 두 분이 여성 창극단 같은 공연을 갈 때 4남 6녀 중 3남인 저를 꼭 함께 데리고 가곤 했습니다. 일찍부터 무용을 접할 기회가 되었죠. 보고 나서는 춤을 흉내냈다고 해요.” 춤을 추고 싶다는 생각을 자연스럽게 해왔고 초등학교 땐 임성남 선생님의 가르침으로 유희에 가깝긴 했지만, 학예회에서 춤을 추게 되었다. 항상…

    더 읽기 »
  • 사회

    [신귀만의 포토월드] 왕을 모시는 마음으로, 공유화

    무용가 공유화 <사진=신귀만 작가> 왕을 모시는 마음으로 “텔레비전으로 공연을 보다가 발레리나들의 모습이 무척 예뻐 보여 무용이 하고 싶어졌어요. 그게 10살이었습니다. 학원에서 발레와 한국무용을 같이 배웠는데 춤을 추다 보니 한국무용에 더 끌리게 됐어요.” 정해진 형식을 중요시하는 발레보다 그 틀에만 얽매이지 않고 자유로운 표현이 가능한 한국무용에 매력을 느끼게 된 것이다. 또 여러…

    더 읽기 »
  • 사회

    [신귀만의 포토월드] 학처럼 고고하게, 송준영

    무용가 송준영 <사진=신귀만 작가> 송준영은 춤에 어떤 계기가 있거나 춤이 무엇인지 알고 시작한 것은 아니었다. 그가 중학생 때, 실은?무용가가 되고 싶었으나 신체적 결함 때문에 성악을 하게 된 음악 선생님을 만나게 되었다. 송준영에게서 자신을?투영한 음악 선생의?권유로 그는 광주의 고등학교에 진학했을 때부터 본격적으로 춤을 추기 시작했다. “뭘 알고 시작한 게 아니라 맹목적으로…

    더 읽기 »
  • 동아시아

    [신귀만의 포토월드] 거침없이 추는 춤, 정신혜

    나를 깨고,?나를 찾는 작업 ‘정신혜’ “특별한 계기로 무용을 시작한 것이 아니라 자연스럽게 하게 되었습니다. 6살부터 여러 학원에 다녔고 미술, 음악, 무용 등 다양하게?접할 수 있었어요. 혼자 있는 시간이 많았던 초등학교 시절에는 친구들을 집에 모아 음악을 틀어놓은 채 춤을 가르치기도 했죠. 춤에 대해 알고 한 것은 아니었지만 그렇게 움직이는 것이 좋았습니다.”…

    더 읽기 »
  • 동아시아

    [신귀만의 포토월드] 농익은 竹香 뿜듯···이매방 제자, 김진홍

    김진홍은 부산에서 태어나 곧장 부모님과 함께 일본으로 갔다. 일본에서 보고 부딪힌 다양한 문화생활의 기억과 경험들은 김진홍을 예술의 길로 이끌었다. 한국으로 돌아와 여러 가지 일을 하면서 독학으로 무용을 익혔고 스승 이매방 선생을 만나 한국무용을 배우기 시작했다. 그 이후에도 이춘우 선생, 강이문 선생, 김계향 선생, 문장원 선생에게 한국무용의 여러 요소를 배웠다. 이런…

    더 읽기 »
  • 동아시아

    [신귀만의 포토월드] 에너지가 담긴 힘있는 춤, 조유섭

    조유섭?에너지가 담긴 힘 있는 춤 어렸을 때부터 사람들의 시선 중심에 서는 것을 좋아했다. 혼자서 뮤지컬을 하는 등 여러 상황을 만들어 즐겼다. 가족들 앞에서 하던 것을 학교에 들어가면서 친구들을 관객으로 하게 되었다. “걷고 뛰고 땀 흘리는 것처럼 몸을 움직이는 게 좋았습니다. 그래서 예고 무용과에 진학하기로 마음먹었어요. 고등학교 때부터 본격적으로 춤을 배우게…

    더 읽기 »
  • 동아시아

    [신귀만의 포토월드] 은은한 향기가 나는 춤꾼 엄선민

    교방살풀이춤을 추는 무용가 엄선민. <사진=신귀만 작가> 작은 정성들이 모여 표현되는 춤 어린 시절 유치원에서 발레를 접할 기회가 있었다. 예쁜 옷을 입고 우아한 동작들을 하며 춤을 추는?것이?무척 즐거웠다. 그렇게 발레를 하며 발표회를 하기도 했었지만?학업 등의 이유로 인문계 고등학교에 진학하게 됐다. 그렇지만 어릴 때의 기억은 무용에 대한 꿈을 잊지 않게 해줬다. “무용을…

    더 읽기 »
  • 동아시아

    [신귀만의 포토월드] 남사당놀이 전수자 권태훈

    소고춤, “박자와 몸의 엇박 상모짓” 금산에서 나고 자란 권태훈은 고등학교 농악부에서 풍물을 처음 접했다. 학교 안에 울려 퍼지는 농악 소리만으로도 가슴이 떨려왔다. 그렇게?농악부에 들어간 권태훈은 고교 3년간 선배들에게 좌도농악을 배우며 풍물에 빠져 지냈다. 그러던 중 ‘전주대사습놀이’에서 장원을 했다. 이후 권태훈은 한국민속촌 농악단의 취업 제의를 받아들여 대학 입학도 포기하며 민속촌으로 갔다.…

    더 읽기 »
  • 동아시아

    [신귀만의 포토월드] 질기고 땀내나고 질퍽한 춤, 김수현

    *사진작가 신귀만이 서울남산국악당의 2010년 무용페스티벌 ‘삶은 춤이다 춤은 삶이다’에 출연한 한국 춤꾼들을 사진으로 담았다. 춤이 무대에 오르기까지의 이야기, 그리고 춤꾼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의 무대밖 모습을 조명했다. 아시아엔(The AsiaN)은 인터뷰를 진행한 최경국 교수(명지대 일문과)와 김다혜 작가의 글을 함께 엮어 연재한다. 무용가 ‘김수현’의 무대밖 이야기 4살쯤?동네에 처음으로 무용학원이 생기자 할머니께서 나를 학원에 데리고…

    더 읽기 »
Back to top b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