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아시아
트럼프 정부 출범, 한국산 ‘그린푸드’ 미국 점령 ‘청신호’
“트럼프 정부의 초가공식품 규제 계기 미국시장 진출 적극 추진을”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보건복지부장관으로 지명된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가 자국 내 초가공식품 규제 필요성을 강조하고 나섰다. 초가공식품 규제는 트럼프의 재선 공약이었으며, 자국민들에게 크게 어필했다. 미국에 만연된 초가공식품이 국민 건강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과 의료비 부담 증가가 주요 규제 이유로 꼽히고 있다.…
더 읽기 » -
동아시아
[김동환의 건강 칼럼] 배우 김수미씨가 남기고 간 소중한 교훈
건강관리 노력 따라 보험료 차등화…체내 나트륨, 당 수치 낮으면 보험료 할인을 배우 김수미씨의 갑작스러운 사망 소식은 국민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으며, 건강 관리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일깨워줬다. 매년 모든 국민이 건강검진을 통해 자신의 건강 상태를 점검받고 있지만, 이러한 검진 결과가 국민 개개인의 식습관과 관련된 정보를 바탕으로 실질적인 생활습관 개선으로 이어지는 일은…
더 읽기 » -
동아시아
[김동환 칼럼] 신기술이 대중화되기까지
신기술이 탄생했을 때 사회나 시장이 그 기술을 수용하고 적응해 나가는 과정은 보통 여러 단계로 설명된다. 기술 채택 주기(Technology Adoption Lifecycle) 또는 혁신 수용 이론(Innovation Adoption Theory)과 관련된 개념들로 설명할 수 있다. 여기엔 주로 다음과 같은 단계들이 있다. 무관심 단계(Innovation Trigger/Technology Trigger) 신기술이 처음 등장하는 단계로, 아직 대중이나 시장의 주목을 크게…
더 읽기 » -
[김동환 칼럼] “정부, 의사 늘리기 앞서 해야할 일 있다”
원인을 바꾸면 결과가 바뀐다…”’그린푸드’로 환자 줄이면 가능” 정부와 의료계 갈등으로 국민이 불편을 겪고 있다. 정부는 “환자가 늘어나 의사와 병원을 늘려야 된다”는 입장이고 의사들은 “의사수를 늘리면 의사의 소득이 줄어들고, 소득이 줄면 유능한 의사들이 의료계를 떠날 것이며, 이는 자연스럽게 의료의 품질저하로 이어져 결국 국민이 손해본다”는 입장인 것 같다. 춘추전국시대의 명의 편작은 죽은…
더 읽기 » -
동아시아
저염·저당·저열량 K-푸드로 세계 식품시장 이끌길
권위 있는 의학저널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NEJM)의 2014년 논문에 의하면 전 세계적으로 사람들의 나트륨 하루 섭취량은 WHO의 권장량(2g)을 초과해 발생하는 심혈관 질환 사망자가 165만명에 이른다. 짜게 먹는 탓에 심혈관 질환으로 일찍 죽는 사람이 그 정도 된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10대 사망원인에는 뇌혈관 질환, 심장질환 및 고혈압성 질환 등 3개…
더 읽기 » -
경제-산업
K-보건의료 세계시장에 우뚝 서려면?···‘신기술 인증기간’ 연장 ‘절실’
[아시아엔=김동환 ㈜가이아 대표이사, 발명가] 정부는 민간이 연구개발한 기술을 지원하기 위해 부문별로 ‘기술진흥법’에 따라 국내 기업 및 연구기관, 대학 등에서 개발한 신기술 보호 및 육성에 기여하고 있다. 정부는 창의성과 신뢰성이 탁월한 신기술을 조기에 발굴해 그 우수성을 인증하고, 이의 상용화를 통한 구매력 창출 기반확대에 지원하고 있다. 특히 연구개발자의 경영안정을 위한 정책인 신기술(NET)…
더 읽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