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근

행복한마음 한의원 원장, 중랑함소아한의원 대표원장, 한국한의학연구소 연구원, 저서 '애노희락의 심리학(개마고원)', '우리아이 공부 비결 체질에 숨어있다(북&월드)'
  • 동아시아

    [김명근 칼럼] ‘자신의 영역’에 집중하라

    류현진이 메이저리그에 우뚝 설 수 있었던 비결 늑대가 이빨을 드러내고 쫓아온다면 누구라도 열심히 달아나기 마련이다. 그런데 그렇게 쫓긴 다음 “늑대에게 쫓기니까 달리기가 정말 빨라지는구나. 다음에는 호랑이에게 한번 쫓겨 봐야지. 그럼 달리기가 더 빨라질 거야”라는 생각을 한다면 어떨까? 정상인으로 봐 주기는 어려울 것 같다. “다시는 산 근처에 얼씬도 하지 말아야지”라고 생각하는…

    더 읽기 »
  • 동아시아

    [김명근 칼럼] 군자의 의리는 헤어짐에서 빛난다

    의리의 심리학…체면 세우는 ‘야쿠자 의리’와 자기 편만 감싸는 ‘양아치 의리’ ‘의리’란 무엇일까? 한자로는 ‘義理’라고 쓴다. 글자대로 풀면 ‘옳음의 이치’라는 뜻이다. 자기가 옳다고 생각하는 일을 꿋꿋하게 해 나가는 것이 의리의 본질이다. 자기편을 무조건 감싸거나 도움을 받은 만큼 보답한다는 것은 의리의 본뜻과는 관계가 없다. 그런데 어쩌다가 의리라는 말이 그런 의미를 갖게 되었을까?…

    더 읽기 »
  • 동아시아

    [김명근 칼럼] 믿을 수밖에 없는 믿음은 재앙이다

    “세상은 바뀌고 있는데, 그들은 너무 멀리 나간 걸까” 동물도 기억을 하고, 판단을 한다. 무엇이 위험하고 안전한지, 어디에 가면 먹이를 구할 수 있는지를. 그런데 판단이 계속 옳을 수는 없다. 몇 번 계속 어긋나면 동물은 판단 기준을 바꾼다. 쿨하게 바꾼다. 사람의 판단은 동물보다 정교하다. 기억도 정밀할 뿐 아니라, 추론, 비교, 예측 등등의…

    더 읽기 »
  • [김명근 칼럼] 트라우마에 대응하는 두 가지 방법

    교수가 학생을 불러 지루한 일을 시킨다. 필름 릴을 상자에 담아 내다버리는 단순한 일을 반복하도록 한다. 충분히 지루해 할 때쯤 작업을 끝내고 학생을 내보내며 부탁한다. “뒤에서 같은 작업을 하려고 기다리는 학생이 있네. 그 학생에게 이 일이 재미있었다고 말해주게”라고. 그리고 돈을 준다. 그런데 어떤 학생에게는 20달러를, 다른 학생에게는 1달러를 주었다. 리온 페스팅거(Leon…

    더 읽기 »
  • 동아시아

    [김명근 칼럼] ‘선입견’이란 함정에 빠진 우리의 뇌

    목표에 집착하는 정보기관장, ‘창으로 날아가는 나비’와 같아 유리로 된 건물에 날아든 나비는 무조건 창 쪽으로 날아간다. 보통 밝은 곳은 열린 곳이다. 어두운 곳은 막힌 곳이다. 나비는 본능적으로 그걸 안다. 그래서 가장 밝은 곳으로 날아간다. 유리면을 따라 열심히 출구를 찾는다. 절대 문 쪽으로는 날지 않는다. 결국은 지쳐 죽어간다. 나비의 본능이 스스로를…

    더 읽기 »
  • [김명근 칼럼] ‘갑 위에 더 센 갑이…’

    고객 앞에서 이 보이며 웃으라고?…’슈퍼갑질’에 대항하라 백화점이 문을 여는 시간에 들어가면 직원들이 쭉 줄을 서서 90도 각도로 인사를 한다. 기분이 썩 좋지는 않다. 나에게 인사하는 직원이 출근할 때 “어머니 회사 다녀오겠습니다”라고 깍듯이 인사하고 나온 직원이라면 괜찮겠다. 하지만 요즘 젊은 직원들이라면 “왜 늦게 깨웠어!”라며 짜증내며 나온 직원이 더 많지 않을까? 그들이…

    더 읽기 »
  • [김명근의 마음산책] 사랑이야기⑩ “여성이 남성을 선택한다”

    남녀 간의 사랑에 대한 이야기가 어려운 것은 두 가지 문제가 섞여 있기 때문입니다. 일단 남자와 여자는 사고 방식이나 표현 방식이 다릅니다. 뇌의 구조 자체가 다른 점이 있기 때문이지요. 이 이야기는 잘 다룬 좋은 책들이 많으니, 여기서는 넘어가기로 합시다. ‘화성 남자, 금성 여자’ 시리즈도 좋고, ‘말을 듣지 않는 남자, 지도를 읽지…

    더 읽기 »
  • [김명근의 마음산책] 사랑이야기⑨ “다른데 통한다? 그래서 끌린다”

    심리학의 관점으로 무언가를 본다는 것은 때론 불편할 때가 있습니다. 감정이 가지는 아름다움이 사라진다는 느낌이 들 때도 있고, 무언가에 조정을 받는 멍청한 로봇 같다는 느낌을 받기도 합니다. 특히 사랑의 감정 같이 무언가 신비롭고, 아름답게 포장하고 싶은 감정은 분석의 칼날을 많이 거부합니다. 하지만 꼭 그렇게 생각할 것은 아닙니다. 음계를 12개로 고정시킨다고 음악이…

    더 읽기 »
  • [김명근의 마음산책] 사랑이야기⑧ “이야기의 시작…진화”

    오늘은 분위기를 좀 바꿔 봅시다. 심리학 칼럼에서 과학 칼럼으로. 이야기는 38억년전 지구에 최초의 생물, 단세포 생물이 나타났을 때부터 시작됩니다. 단세포 생물은 둘로 나누어지는 방법으로 개체수를 늘려갑니다. 나눠진 것들도 똑같은 유전자를 가지고 있으니, 개체 간에 차이가 없지요. 그런데 꼭 그런 것만은 아닙니다. 간혹은 돌연변이에 의해 유전자가 좀 다른 놈들도 생겨나지요. 그…

    더 읽기 »
  • [김명근의 마음산책] 사랑이야기⑦ “출발은 ‘자신’에 대한 사랑에서”

    마음 속에 용납하기 어려운 충동이 있을 때, 우리 마음은 이를 다루기 위해서 여러 가지 방법을 동원합니다. 심리학에서 방어기제라는 용어로 부르는 것들이지요. 그 중에 동일시라는 것이 있습니다. 하고 싶지만 나는 할 수 없는 일이 있을 때, 그 일을 할 수 있는 사람과 나를 동일시하는 것입니다. 남자 아이가 아빠의 신을 끌고 다닌다거나,…

    더 읽기 »
  • [김명근의 마음산책] 사랑이야기⑥ “대리만족…왜 위로하지 않고 비난할까”

    대~한민국. 짝짜~악짝 짝짝. 누가 시킨 사람도 없는데, 다들 붉은 티셔츠를 입고, 길바닥에 앉아서, 도대체 무슨 짓들을 한 것이었을까요? 벌써 10년도 더 지난 일이지만 아직도 그 때 생각을 하면 가슴이 벅차다는 사람도 있습니다. 뭐가 달라지는 거죠? 대한민국 대표팀이 월드컵 4강에 오르게 되면 살림살이가 좀 나아지나요? 우리 국민 모두가 훨씬 더 건강해지기라도…

    더 읽기 »
  • [김명근의 마음산책] 사랑이야기⑤ “사랑하게 될까봐 헤어졌다…?”

    ‘너 아니면 죽고 못 산다’라고 하는 사람들끼리 결혼하면 행복할까요? 좀 숨 막힐 것 같지 않나요? “(혼자서도 살 수 있지만) 너랑 같이 살면 훨씬 더 행복하게 살 수 있을 것 같아”라고 하는 상대라면 어떨까요? 이쪽이 더 쿨하지 않을까요? ‘죽고 못 산다’라는 말에는 부정 동기가 숨어 있습니다. 괴로움으로부터의 도피 동기. ‘같이 사는…

    더 읽기 »
  • [김명근의 마음산책] 사랑이야기④ “나의 이미지와 관계 이미지”

    지난주에 이야기한 애착의 세 가지 유형에 대한 이야기를 좀 더 자세히 해 봅시다. 프랑수아 를로르와 크리스토프 앙드레라는 두 심리학자의 공저인 ‘내 감정사용법(배영란 옮김, 위즈덤하우스)’이라는 책이 가장 정리가 잘 되어 있더군요. 그 내용을 좀 소개하겠습니다. 이 연구는 만 1세 정도인 아기의 행동 유형의 관찰에서 시작을 합니다. 첫 번째는 안정형 애착입니다. 이런…

    더 읽기 »
  • [김명근의 마음산책] 사랑이야기③ “사람마다 다른 심리적 거리”

    ‘심리적 거리’라는 말이 있습니다. 두 사람 사이에 감정을 공유하고, 공감하는 것이 많으면 가까운 것이고, 적으면 먼 것입니다. 가깝게 지내는 사람과 심리적 거리가 너무 멀면 어색하고 불편합니다. 하지만 무조건 가까운 것이 좋은 것은 아닙니다. 다른 사람과 너무 가까워지면 자기의 정체성을 잃는다는 불안한 느낌을 가지게 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래서 편안함을 느끼는 적당한…

    더 읽기 »
  • [김명근의 마음산책] 사랑이야기② “애착, 사랑과 집착 사이”

    사랑과 집착은 자주 혼동이 되는 감정입니다. 옆에서 보기에는 집착인데, 본인은 사랑이라고 주장하는 경우가 종종 있지요. 집착과 사랑이 혼동되는 것은 이유가 있습니다. 집착과 사랑 중간에 있는 것이 하나 있거든요. 사랑에서 한 글자를 따고, 집착에서 한 글자를 따면 만들어지는 단어. 애착이라는 것이 있지요. 이게 사랑과 집착을 혼동하게 만드는 이유입니다. 애착은 사랑을 구성하는…

    더 읽기 »
Back to top b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