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칼럼
‘최후의 새벽’ 그 짧고 긴박한 조우
미국 AP통신 사이공지국장 조지 에스퍼의 타계에 접하여? 사이공 최악의 날 사이공 1975년 4월28일. 이 날을 나는 ‘사이공 최악의 날’이라고 저서 <사이공 최후의 새벽>에 기록했다. 오후에 맑았던 하늘이 캄캄해지며 빗방울이 떨어지더니 쏴 소리와 함께 우기를 알리는 첫 스콜이 패연(沛然)히 쏟아졌다. 아침에 사이공 하늘을 뒤덮은 불길한 검은 연기와 한낮 긴급 철수의 불안한…
더 읽기 » -
[김제완의 사색진보] 유시민과 노회찬의 봉숭아학당
리버럴과 레프트의 충돌 지난해 3월 진보통합 주최로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토론회에서 노회찬 진보신당 전대표는 옆자리에 앉은 유시민 당시 국민참여당 연구원장에게 이렇게 말했다. “우리와 같이 하려면 좌클릭해서 진보쪽으로 오시오.” 그러자 유시민 원장은 이렇게 대답했다. “내가 진보인데요?” 필자는 이 장면을 오마이뉴스 동영상으로 지켜보다가 좀 과장해서 말하면 현기증이 일어났다. 진보의 재구성이라는 더없이 중요한 논의를…
더 읽기 » -
동아시아
[시각문화 3.0] ① 제대로 소통하고 싶다면 디자인!
고대 이집트의 건물 벽에 새겨진 상형문자(왼쪽), 건물은 인간의 거주를 위한 도구이며, 문자는 인간 본능인 의사소통의 역할을 한다. 디자인의 시작 역사 이전 시대부터 우리 인류가 세상에 남겨놓은 것들은 매우 많다. 우리는 그것들 중 가장 가치 있는 것들을 문화유산이라고 부르며 소중하게 취급한다. 이들 문화유산의 범위는 매우 많고 다양하지만 자세히 보면 크게 두…
더 읽기 » -
동아시아
참치 원양 산업계의 사회적 책임
불법과 인권유린의 원양산업계 최근 사조그룹, 동원산업, 인성실업 등 국내 원양 산업계의 불법 어획과 인권유린 사례가 도(度)를 넘어서고, 정부가 이를 비호하고 있다는 국제적 질타가 잇따르고 있다. 뉴질랜드 <선데이스타타임스> 마이클 필드 기자는 2월5일 “남태평양에서 메로(이빨고기) 불법조업으로 60만달러(약 7억원)의 불법 이득을 취한 인성실업에 대하여 한국정부가 1800달러(약200만원)의 솜방망이(toothless)처벌했다”고 보도했다. 인성실업 사건은 2010년 12월13일로 거슬러간다.…
더 읽기 » -
[강성현의 중국이야기] 책벌레, 증국번(曾國藩)
“정치를 배우려거든 ‘증국번’에게서 배워라.” 2003년 1만8000곳 가까이 존재하던 한국의 빵집이 지금은 4000여 곳이 남아 겨우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고 한다. 이쯤 되면 빵집 자영업은 거의 ‘학살’ 수준이라고 해야 옳을 것 같다. 마침 집앞 크라운제과를 지날 때 ‘급매’라고 조그맣게 매직펜으로 쓴 글자가 눈에 들어왔다. 잔뜩 만들어 놓은 빵이 팔리지 않아 속이 새까맣게…
더 읽기 » -
남아시아
파키스탄 “올 겨울 유난히 길어”
파키스탄 기상청이 “올 겨울 추위는 예년과 달리 3월까지 계속되겠다”고 예보한 가운데, 3일(현지시각) 카이버 파크툰코주(州) 코할라와 나티아 갈리의 눈 덮인 언덕길을 주민들이 나귀에 짐을 싣고 넘어 가고 있다. news@theasian.asia
더 읽기 » -
남아시아
파키스탄 기상청 “겨울, 3월까지 계속”
파키스탄 기상청이 “올 겨울 추위는 예년과 달리 3월까지 계속되겠다”고 예보한 가운데, 3일(현지시각) 카이버 파크툰코 주(州) 코할라와 나티아 갈리의 눈 덮인 언덕길을 주민들이 나귀에 짐을 싣고 넘어 가고 있다. news@theasian.asia
더 읽기 » -
동아시아
[강위원의 포토차이나] 조선족 ‘경상도마을’의 대보름
연길에서 백두산 가는 길에 만나는 첫 도시는 안도현 명월진이다. 명월진 시내에서 우측으로 나가는 길로 한참을 가다보면 명월구 회의를 기념하는 비석이 나오고 장흥향 소재지를 지나서 비포장도로를 조금 더 올라가면 오봉마을과 새마을이라고 부르는 신툰이 나온다. 이 새마을과 오봉마을은 1938년 3월25일 밀양의 40호와 합천의 60호가 이주하여 형성된 집단부락으로 출발했다. 언도현에서 16개 민족이 참가한…
더 읽기 » -
[김제완의 사색진보] 보수시대의 진보정권, 진보시대의 보수정권
보수의 시대가 있고 진보의 시대가 있다. 보수의 시대는 국민 다수가 보수를 원하는 시대이고 진보의 시대는 국민 다수가 진보를 원하는 시대로 정의될 수 있다. 대개 보수의 시대에는 보수정권이 들어서고 진보의 시대에는 진보정권이 들어선다. 진보정권이 한계를 드러내면 보수의 시대가 오고 보수정권이 들어선다. 역으로 보수정권이 그 할 일을 다하고 바닥을 드러내면 국민들이 진보를…
더 읽기 » -
서아시아
이집트축구장 집단살해 배후는 군부정권?
2011년 2월11일 독재자 무바라크가 권좌에서 내려온 후 지난 1년간 이집트 군부는 혁명이 무색하리만큼 온갖 만행을 저질러 왔다. 조금이라도 이성이 있는 사람이라면 과거의 무바라크 대통령과 지금의 군부가 전혀 다르지 않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간의 만행이 너무 많아서 일일이 다 열거할 수도 없지만 바로 그제인 2월1일, 최악의 사건이 발생했다. 이집트 북쪽…
더 읽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