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아시아
[박상설의 자연 속으로] ‘가방 든 여인’과 걷는 철길
호수 따라 철길 따라···‘다산유적지’ 팔당 호반을 찾아 사운 거리는 강바람을 쐬며 호숫가의 숲과 철길을 거닐었다. 팔당의 남양주 다산길은 다산유적지 외에도 12개 코스의 둘레길이 있다. 이 중에서 팔당~능내역 구간이 가장 평판이 좋다. 탁 트인 팔당 호반엔 전망 데크, 원두막도 갖춰져 있다. 팔당에서 능내역까지의 구 중앙선 철로는 폐쇄되어 사람들이 걸을 수 있게…
더 읽기 » -
동아시아
[박상설의 자연 속으로] 완벽하게 빈, 나만의 시간
여행은 마음에서 시작된다···인천 ‘신도’에서 보낸?1박2일 봄기운에 밀려, 긴 겨울 내내 풀리지 않는 숙제를 핑계 삼아, 만사를 접고 텐트를 짊어 메고 서해바다 인천의 섬, ‘신도’을 찾았다. 나는 늘 혼자이지만, 가끔은 더 완벽하게 고립된 빈 시간이 좋다. 오늘 하루는 없는 날··· 나를 벗어나 둥지를 튼다. 그 캠프는 집이 아니라 ‘텐트’이다. 詩같은 바닷가의…
더 읽기 » -
동아시아
[박상설의 자연 속으로] 마라톤, 실존의 처절한 드라마
삶의 힘은 어디서 오는가. 마라톤을 거울삼아 생각해본다. 마라톤. 낯설고 생소하고 두렵다. 42.195km는 상상할 수 없는 지옥이다. 접근할 수 없고 주눅 들게 하는 딴 세상 이야기다. 직접 뛴 체험을 말로는 설명할 수 없다. 뛴 사람만이 알 뿐이다. 마라톤은 정신적 육체적으로 자기학대를 스스로 만들어 하는 운동이다. 이 본질은 극한 상황에서 마주친 인간…
더 읽기 » -
동아시아
[박상설의 자연 속으로] 아련한 봄산의 기억
이내 슬어 없어질, 그리운 ‘쑥향’ 이때쯤 되면 생각나는 곳이 있다. 외딴 두메마을의 옥수숫대 김치 움집을 지나쳤다. 얼마동안 침묵이 흘렀다. 언제 적 움집이던가. 다 삭아 흔적만 남았다. 마음 가는 곳이 있어 집 뒤 언덕을 향했다. 산행 때 ‘달래’를 한줌 나에게 건네주던 헐빈한 할망구. 혼자 살던 그는 수년 전 집 뒤에 누웠다.…
더 읽기 » -
동아시아
[박상설의 자연속으로] 내 꿈은 지금 펼쳐진다
토론하며 소통하는 유럽인의 ‘살롱 문화’ 50세 전후 여성을 ‘나이 지긋한 여인’이라고 한다. 굳이 말하자면 ‘아주머니’, ‘부인’, ‘주부’라고도 부른다.?여기서는?‘레이디(Lady)’라는 단어를?사용하려고 한다. 그 레이디를 ‘샤빼롱(chaperon)’이라 여기고, 크리스털글라스의 신비스러운 광채가 어린 와인의 향기를 상상하자. 샤빼롱이란?우아하고 세련된 성장을 갖춰 입고 젊은 숙녀를 대동하여 사교모임에 참석하는 교양 있고 예의 바른 나이 지긋한 ‘레이디’를 이른다. 50세…
더 읽기 » -
동아시아
[박상설의 자연속으로] 산다는 것은 발끝에 있다
캠프나비 박상설(85) 호스트의 ‘자연속으로’ 칼럼을?연재합니다. 산과 들에서 느끼는 시원의 감정을 85세 경륜에 녹여 독자들에게 삶의 통찰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합니다. 박상설 호스트는 우리나라 캠핑 문화의 선구자입니다. 아웃도어레포츠가 생소하던 1990년대 초부터 오토캠핑을 시작해 지금은 캠핑 강사와 캠프나비 호스트로 자유를 갈망하는 많은 이들을 자연으로 안내하고 있습니다. 동아일보와 백병원이 주관한 제1회 투병문학상을 수상하기도 했습니다.…
더 읽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