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아시아

    이라크 ‘쿠르드 야지디’ 여인은 어떡하라고···종교위원회 “IS 성폭행 아이 수용 못해”

    [아시아엔=편집국] 이슬람 극단주의 무장단체 이슬람국가(IS) 조직원들의 성폭행으로 태어난 아이들은 이 사회에서 배척될 위기에 놓였다. 28일(현지시각) <알자지라> 등 아랍권 매치에 따르면, 이라크 소수민족 야지디족 최고종교위원회는 27일 IS 조직원들에게 납치돼 성폭행을 당한 야지디족 여성들은 공동체 일원으로 받아들이기로 했다. 그러나 피해 여성들이 IS 조직원들로부터 성폭행 당한 뒤 낳은 아이들은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더 읽기 »
  • 서아시아

    두바이, 162층 부르즈할리파 이어 축구장 80개 면적 중국무역마켓

    2020 ‘두바이 엑스포’ 행사장 맞은편에 건립 일대일로정상포럼서 무함마드 부통령 밝혀 [아시아엔=알파고 시나씨 기자, 연합뉴스] ‘2020 두바이엑스포’에서는 ‘중국무역마켓’이 단연 돋보일 전망이다.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 군주 겸 부통령 셰이크 무함마드 빈 라시드 알막툼이 두바이에 축구장 80개 면적(56만㎡)의 ‘중국무역마켓’ 설립 계획을 발표하면서다. 셰이크 무함마드 빈 라시드 알막툼은 중국 정부가 베이징(北京)에서 연 제2차 일대일로 국제협력…

    더 읽기 »
  • 서아시아

    [아시아 교육제도-이란] 정교일치 시아파 종주국 이란 교육체계는?

    우리 조상들은?오래?전부터?“교육은 백년대계(百年大計)”라고 해왔습니다. 너무나 당연한 일인데, 종종 잊고 지내는 게 현실이기도 합니다.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에 압축돼 표현됐듯, 자녀교육을 위해서는 어떠한 희생도 감수하는 것은 전통사회나 현대사회나 그다지 다르지 않는 것 같습니다.?교육과 국방은 정상적인 국가라면 어디서나 가장 중시하는 두 축입니다. 국방은 ‘오늘의 우리’를 지켜준다면, 교육은 ‘우리의 미래’를 준비해주기 때문입니다.?<매거진N>은 아시아 각국의 교육제도를 살펴봤습니다.…

    더 읽기 »
  • 서아시아

    ‘아시아엔’ 푸네 네다이 이란 지사장 ‘이란 미디어역사 전시회’ 주최

    [아시아엔=주영훈 인턴기자] 아시아기자협회 부회장이자 아시아엔 이란 지사장인 푸네 네다이 <쇼크란> 출판사 발행인이 주최하는 ‘제5회 이란 미디어역사 전시회’가 8일 개막한다. 이란 수도 테헤란의 후아트갤러리에서 열리는 이번 전시회에는 이란의 미디어 관련 사료 등이 전시된다. 이번 전시는 테헤란의 네자톨라히 거리에 소재 후아트갤러리에서 열리며 8일 오후 4시(현지시각) 개막해 14일까지 계속되며 토요일은 쉰다.  

    더 읽기 »
  • 서아시아

    터키 이슬람사상가 귤렌 “터키 민주주의는 왜 실패했나?”

    미국 망명 ‘히즈멧운동’ 지도자 페툴라 귤렌 ‘르몽드’ 특별기고 미국 망명중인 ‘히즈멧운동’ 지도자 페툴라 귤렌이 최근 프랑스 ‘르몽드’ 지에 특별기고를 통해 터키 민주주의의 붕괴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했다. 특히 수십만명의 지식인이 체포, 투옥, 실직 등을 당하며 고통을 겪고 있는 사실을 서방 언론에 폭로했다. <아시아엔>은 그의 기고문을 요약 보도한다. <편집자> 터키는 2000년대…

    더 읽기 »
  • 서아시아

    [정상덕의 평화일기] 3월의 흙길은 너무 빨리 걷지 맙시다

    [아시아엔=정상덕 원불교 교무] 3월의 이른 아침, 제가 사는 전남 영광군 백수읍 길룡리 원불교 영산성지 영산원 앞마당을 슥슥~씁니다. 지난 겨울 발견하지 못했던 길모퉁이 파릇파릇 새싹이 올라와 있습니다. 고개를 숙여 자세히 들여다보니 모래와 돌 사이를 뚫고 나오는 생명, 차갑게 얼었던 땅을 헤집고 나온 상사화 어린 싹입니다. 빗자루를 놓고 한동안 서로 마주 봅니다.…

    더 읽기 »
  • 서아시아

    [아시아 알파벳-중동] 쿠란 통해 전승한 아랍문자, ‘서예’로 꽃 피우다

    우리가 하루 동안 읽는 글자는 모두 몇 자나 될까요? 우리가 하루에 사용하는 단어는 얼마나 될까요? 아무 것도 읽지 않고, 아무 말도 하지 않은 채 며칠이나 견딜 수 있을까요? ‘나’와 ‘글자’에 대해 한번 생각해본 적이 있으신지요? 매거진N이 ‘알파벳’이란 보통명사로 통칭되는 ‘글자’의 이모저모를 살펴봅니다. 이집트·파키스탄·이탈리아 그리고 터키기자들은 무슨 얘기를 펼쳤을까요? <편집자> [아시아엔=아시라프…

    더 읽기 »
  • 서아시아

    [아시아 알파벳-터키] 국부 케말 파샤 ‘글자혁명’의 빛과 그림자

    우리가 하루 동안 읽는 글자는 모두 몇 자나 될까요? 우리가 하루에 사용하는 단어는 얼마나 될까요? 아무 것도 읽지 않고, 아무 말도 하지 않은 채 며칠이나 견딜 수 있을까요? ‘나’와 ‘글자’에 대해 한번 생각해본 적이 있으신지요? 매거진N이 ‘알파벳’이란 보통명사로 통칭되는 ‘글자’의 이모저모를 살펴봅니다. 이집트·파키스탄·이탈리아 그리고 터키기자들은 무슨 얘기를 펼쳤을까요? <편집자> [아시아엔=알파고…

    더 읽기 »
  • 동아시아

    [2018 아시아 10대뉴스] ‘남북·북미정상회담’·’미중 무역 전쟁’·’카쇼끄지 암살’

    다사다난(多事多難), 한해도 빠짐없이 연말이면 등장하는 성어(成語)입니다. 2018년도 그다지 다르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중요한 건 숙제가 많이 있지만, 전년보다는 조금씩 나아진다는 점입니다. 아시아 각국에선 어떤 일들이 벌어졌을까요? <아시아엔>은 처음으로 ‘아시아 10대뉴스’를 선정했습니다. 여러 나라에 있는 아시아기자협회 회원과 <아시아엔> 필진들이 보내온 자국 주요뉴스 가운데 선별했습니다. 나라별 주요뉴스도 함께 독자들과 나누려 합니다.<편집자>  

    더 읽기 »
  • 동아시아

    아시아기자협회, 박항서 감독·우즈벡 대통령 등 ‘2018 아시아 인물’ 선정···故 구본무 LG회장·야콥 이집트 의사

    [아시아엔=알파고 시나씨 <아시아엔> 편집장] (사)아시아기자협회(AJA, 회장 아시라프 달리·이사장 이형균)는 19일 “‘2018 아시아 인물’로 △정치부문 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 우즈베키스탄 대통령 △경제부문 故구본무 LG그룹 회장 △사회·문화부문 하비브 야콥 이집트 의사, 박항서 베트남 축구국가대표팀 감독을 각각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부문별 수상자의 공적은 다음과 같다. △미르지요예프 우즈베키스탄 대통령 2016년 12월 우즈베키스탄 대통령 취임 이후 정치범 석방·고문…

    더 읽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