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

    김수완 한국이슬람학회장 UAE서 ‘종교 너머 도시’ 북콘서트

    김수완 한국이슬람학회 회장(한국외대 교수)이 2월 1, 2일 아랍에미리트(UAE)에서 북토크콘서트를 연다.  한국외대 융합인재학부 중동이슬람전략 교수인 김수완 회장(중동지역학 박사)은 자신의 저서 <종교 너무 도시>(쑬딴스북, 2023)를 토대로 ‘중동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을 주제로 1일 오후 1~2시 아부다비 한국문화센터(아랍어 진행)과 2일 오후 4~5시  두바이 1004구메(한국어 진행)에서 각각 연다. 김 교수는 △인류와 만나는 이슬람 도시의 역사와…

    더 읽기 »
  • 동아시아

    [김용길의 영화산책] 해리슨 포드 ‘인디아나 존스:운명의 다이얼’

    “해리슨 포드 형아야, 42년 간 참 수고했어.” 영화 <인디아나 존스 : 운명의 다이얼>은 인디아나 존스 시리즈 5편이자 최종 완결판입니다. 이제 80세를 넘긴 해리슨 포드는 42년 간 쫓고 쫓기는 ‘추격의 달인’ 고고학자 주인공을 맡아 열연했습니다. 1982년 1편 <레이더스> 한국 개봉 당시 10대 후반 관객이었던 저는 이제 50대 후반 관객이 됐습니다. 최종…

    더 읽기 »
  • 문화

    [신간] ‘생각하는 군인-열린 생각과 그 적들’

    전계청 육군종합행정학교장(기록물관리학 박사) 역저 “우리가 눈을 떠야만 비로소 새벽이 찾아온다”   클라우제비츠가 전쟁론을 쓴 이래 한국군 장군 중에서 전쟁과 전장에서 일어나는 실상에 대하여 본질적이면서 철학적인 문제를 다룬 귀한 책이 나왔다. 육군종합행정학교장 전계청 장군(기록물관리학 박사)이 군 생활을 마무리하는 시점에서 후배들을 위해 군 생활을 하면서 느낀 소회를 담은 군 관련 독본을 펴냈다. 전계청…

    더 읽기 »
  • 동아시아

    [오늘의 시] ‘목어’ 최명숙

    눈을 떠야지 녹녹지 않은 세상이 수만리 밖까지 깜깜해도 여명을 보아야지 바다를 지나던 스승이 물고기가 된 제자의 몸을 벗게 하고 등에 자란 나무, 그 몸에서 다시 태어난 몸 밤낮으로 눈을 감고 있을 수는 없어 몸이 다 닳도록 정진해야 하는 때문이지 깨어나 자유로이 일어나 허공을 헤엄쳐.

    더 읽기 »
  • 문화

    [신간] 조용연 여행작가 ‘여강이 품은 작은 강(상)’

    지난 해, 나의 2023년을 고스란히 쏟아부은 책이 나왔다. 삶이 흐르는 여강 시리즈 4권, <여강이 품은 작은 강(상)>이다. 2022년에 나온 <여강의 나루터>의 연작쯤으로 보면 된다. 여주를 지나는 한강, 즉 남한강으로 흘러드는 여주의 지방하천 40개 가운데 20개를 상권에서 다뤘다. 이제 2024년 한해는 나머지 하류 쪽 20개의 지방하천 20개에 매달려야할 판이다. 큰 강에…

    더 읽기 »
  • 동아시아

    [신간] ‘선비’ 육군총장의 피로 쓴 회고록 ‘군인 남재준이 걸어온 길’

    조선시대 대학자 중 한명인 다산 정약용은 18년의 유배를 살았다. 이 유배가 개인에게는 큰 불행이고 고통이었지만 ‘다산학’이라는 조선사상사의 저수지를 탄생케하는 밑거름이 되었다. 정다산의 강진 유배와는 다르지만 동일한 정치적 보복을 당해 감옥에 유폐되었던 남재준 총장은 집안 가형과 누님에게 보내는 편지로 살아온 길을 정리하고 300여 권의 독서시간을 확보했다. 4년 7개월의 죄인 아닌 죄인으로…

    더 읽기 »
  • 문화

    [여류:시가 있는 풍경] ‘이번 생에’ 이병철

    이번 생에 여기에 몸으로 온 까닭을 생각한다 이 눈으로 다정하게 바라보고 떨리는 목소리로 사랑한다 그리 말하고 두 팔로 당신을 안는다 부드러운 말과 거친 말 품어 안는 것과 내치는 것 가슴을 여는 것과 닫는 것이 어떻게 다른 것인지를 배우고 사랑하기와 두려워하는 것 가운데서 어떤 것을 선택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내가 피어나는 것이…

    더 읽기 »
  • 동아시아

    [서평] 송종환 ‘북한과의 협상 실패: 진실과 해법’

    외교관이자 학자인 저자의 대북협상과 통일 해법 ‘혜안’ [아시아엔=주은식 한국전략문제연구소 소장, 예비역 준장] “일생을 통하여 국가안보에 헌신하셨던 분이 기록을 남기는 것은 소중한 자산이다.” 919군사합의를 파기하려는 정치적 언사가 남북 상호간에 날을 세웠다. 북한은 남조선이라는 호칭 대신에 대한민국이라는 국호로 불렀다. 그것이 주적임을 부각시키는 의도로 했지만 남조선보다 우리를 인정하는 묘한 언사이다. 북한은 동족국가이면서 붕괴의…

    더 읽기 »
  • 동아시아

    [신간] 하성우 ‘미국의 전략문화와 한반도 개입정책’

    [아시아엔=주은식 한국전략문제연구소 소장] 올해는 한미동맹 70주년이 되는 뜻깊은 해이다. 하지만 세계의 경찰 역할을 담당했던 미국 주도의 단극체제를 시험이라도 하듯 러시아-우크라이나에 이어 중동의 이스라엘-하마스 간에도 전쟁이 한창이다. 많은 이들이 다음은 어딘가 하고 걱정한다. 동아시아에서 전쟁이 발발한다면 양안 사태에 이어 두 개의 대규모 전쟁을 감당할 역량이 제한된다는 전제 하에 북한의 남침 공격을…

    더 읽기 »
  • 문화

    [신간] 주식농부 박영옥의 쓴소리

    대한민국 대표 투자자 박영옥 주식농부와 한국기업거버넌스포럼 김규식 회장이 공저로 <주주권리가 없는 나라>(센시오)를 냈다. 저자들은 책에서 “한국은 합법적으로 주주의 이익을 침탈하는 나라”라고 말한다. 일반 주주의 뒤통수를 치는 물적 분할 후 동시상장부터, 기업의 이익을 빼돌리는 터널링, 불합리한 합병 비율, 자진상폐 등 선량한 주주 권리를 빼앗는 사례가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동학…

    더 읽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