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아시아
[엄상익의 시선] 그분한테서 온 ‘시간’이란 선물
나는 변호사를 시간을 파는 직업이라고 생각했다. 젊은 날 내게 주어진 시간은 무진장인 것 같았다. 시간은 돈 같이 저장될 수 있는 게 아니었다. 강물같이 그냥 흘러가 버리는 것이었다. 아껴도 묶어놓을 수 없는 것이라면 공짜로 인심이나 쓰자 하는 마음이었다. 그런데 아버지 나이이던 스승 변호사의 행동은 달랐다. 내가 젊었던 시절은 도제식으로 변호사 업무를…
더 읽기 » -
동아시아
[신정일 칼럼] “권력이란?…씨앗과 같아 둘로 나눌 수가 없다”
<택리지>의 저자 이중환은 “사대부가 살고 있는 곳은 인심이 고약하지 않은 곳이 없다”고 한다. 사대부들은 대부분 특정 당파에 가입하여 있었고, 서로 싸우다보니 인심이 악화되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조선왕조실록>이나 여러 문집들을 보면 당쟁으로 인한 부정적인 표현들이 수도 없이 많다. 오죽했으면 <성호사설> 저자 이익이 붕당간의 반목을 두고 “서로 원수가 되어 죽이고 죽으며…
더 읽기 » -
동아시아
[新난중일기] ‘명량해전’ 승리에는 이순신 장군의 용기와 결단이 있었다
1597년 10월 26일(음력 9월 16일), 남해와 서해가 만나는 울돌목. 판옥선 13척이 세키부네 133척과 맞붙는 바다 위의 대회전이 펼쳐진다. 조선 수군은 수적 열세에도 불구하고 판옥선의 우세한 화력을 이용하여 적선을 격파하며 왜군의 전투의지를 서서히 꺾어나간다. 마침내 좁고 험한 해협의 빠른 물살이 방향을 틀자, 순식간에 적선들이 아비규환 속으로 휘말려 들어간다. 공세를 거머쥔 판옥선이…
더 읽기 » -
동아시아
[윤재석 칼럼] 비상계엄 열흘, 탄핵 정국…”그래도 희망을 보았다”
계엄 포고 열흘 시점, 일상은 평온하다. 직장인과 학생들은 출근과 등교로 발걸음이 바쁘고, 병아리 같은 유치원생 어린이들도 ‘삐약삐약’ 발걸음을 옮기고 있다. 여의도와 광화문에서 탄핵 찬반 시위가 연일 벌어져도, 일상은 변함없이 돌아간다. 증권시장 또한 큰 변동 없이 평상을 유지하고 있다. 주부들은 계엄 포고 첫날이 잠시소요를 제외하곤 사재기도 퍼 나르기도 하지 않고 있다. 거대…
더 읽기 » -
동아시아
-
동아시아
[이충재 칼럼] 오늘 12.12쿠데타 45주년…”12∙3비상계엄 동원된 ‘똥별’들 단죄해야”
12∙3 비상계엄에 동원된 군 장성들의 책임회피가 과거 노무현 전 대통령이 말한 ‘똥별’을 떠올리게 한다는 이들이 많다. 쿠데타를 주동하거나 공모, 동조하고도 사법적 단죄를 피하기 위해 서로 책임을 떠넘기는 모습이 노무현 전 대통령이 당시 군 장성들에게 “부끄러운 줄 알라”고 일갈했던 장면과 유사하다. 초급간부와 병사들은 극심한 자괴감에 시달리고 있는데 자기 살 길만 찾는…
더 읽기 » -
남아시아
모디 정부 향한 인도 국민들의 일갈
*아시아엔 해외필진 기고문의 한글번역본과 원문을 함께 게재합니다. [아시아엔=닐리마 마터 ‘아시아엔’ 인도 특파원, 레이크사이드 독 페스티벌 디렉터] 인구 대국 인도의 민주주의 체제는 정치평론가들에게 흥미로운 소재다. 그 예측과 분석이 까다로울지라도 말이다. 전설적인 사원에서의 대형 이벤트, 우파 정치가 득세하는 국제정세가 올해 치러진 총선의 유권자들을 움직이진 못했다. 현 정부는 종교적인 색채까지 가미했지만 결국 세번째…
더 읽기 » -
동아시아
[김서권 칼럼] 세속적 물신주의, 짝퉁 교인, 짝퉁 교회에서 벗어나려면
영적인 혼란 시대를 대비해야 합니다. 이 세대를 본받지 말고 오직 마음을 새롭게 하여 변화를 받아 하나님이 기뻐하시고, 온전하신 뜻이 무엇인지 분별해야 합니다. 우리의 싸우는 무기는 육신에 속한 것이 아닙니다. 오직 어떤 견고한 진도 무너뜨리는 하나님의 능력입니다. 모든 이론을 무너뜨리며 하나님 아는 것을 대적하여 높아진 것을 다 무너뜨리고 모든 생각을 사로잡아…
더 읽기 » -
동아시아
[신정일의 시선] 겨울은 세상의 소란 속에서도 깊어가고
당신의 마음속 도둑은 무엇인가? 조선시대 최고의 명재상으로 알려진 황희와 함께 쌍명상雙名相으로 손꼽히는 허조는 수신제가를 이룬 사람으로도 유명하다. 그는 평생 동안에 걸쳐 한 번도 닭이 운 뒤에 일어난 적이 없다는 절도로 엄격하게 자기 생활을 통제하며 산 사람이다. 그가 밤중에 단정하게 책상 앞에 앉아 있을 때 집안에 도둑이 들어 물건을 훔쳐간 적이…
더 읽기 » -
동아시아
[김연수의 에코줌] 새를 기다리는 ‘수달’…이 땅의 동물들은 평화롭기만 한데
대한민국이 ‘미친 사람들의 미친 짓’으로 혼란을 겪고 있지만, 이 땅의 동물들은 평화롭다. 새를 기다리는데 수달이 내 앞으로 다가온다. 대한민국의 발전을 위한 혼란이 조속히 안정되기를 기원한다. 사람 세상에도 평화가…
더 읽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