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아시아

    [아라비안 이야기] ? “네 생각대로 해”

    *<샤마위스로 가는 길> 열여섯 번째 이야기 27 와지흐 이삼 알 딘 장군은 비올라 여사의 초대나 부름을 기다리지 않았다. 이미 그는 10시부터 옷을 갖추어 입고 그녀가 말했던 그와 그녀, 나르지스와 만나는 시간을 기다리고 있는 중이었다. 그는 다시 한 번 반지를 준비한다. 아침부터 성장을 한 아버지를 이상하게 보는 아들의 시선은 상관없다. 히샴이…

    더 읽기 »
  • 동아시아

    중국-이스라엘, 총리 협력 강화 시사

    중국을 방문한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리커창(李克强) 중국 총리가 회담을 갖고 양국 간의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8일(현지시간) 리 총리는 베이징의 인민대회당에서 네타냐후 총리와 만난 자리에서 “중국 새 지도부는 이스라엘과의 관계를 매우 중요하게 본다”며 “양국 정부, 의회, 정당 및 민간 차원에서의 왕래를 늘리고 무역, 교육, 문화 교류 등 여러 영역에서의 관계를…

    더 읽기 »
  • 동아시아

    아랍어판 창간 6개월만에 ‘중동권 중심매체’ 발돋움

    아시아엔은?11월11일 창간 3돌을 맞습니다. 독자들께서 보내주신 성원에 깊이 감사드립니다. 아시아엔은 창간 1년만에 네이버와 검색제휴를 맺었습니다. 하지만 제휴 이전 기사는 검색되지 않고 있어, 그 이전에 발행된 아시아엔 콘텐츠 가운데 일부를 다시 내기로 했습니다.?독자 여러분께 좋은 정보가 되길 바랍니다.<편집자>? 6개월 전, 아시아엔(The AsiaN)이 아랍어가 모국어인 20개국 이상의 독자들을 위한 새 언어판을 창간하는…

    더 읽기 »
  • 서아시아

    시리아 아사드 “이스라엘에 맞설 수 있다”

    이란 외무와 만나 이스라엘 맹비난…’보복’ 언급은 안해 헤즈볼라 시리아 정부군 합류…反이스라엘 전선결집 양상 지난주 이스라엘이 시리아를 공습한 것과 관련해 바샤르 알 아사드 대통령은 “이스라엘과 정면으로 맞설 능력이 있다”고 경고했다. AP통신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아사드 대통령은 7일(현지시간) 시리아를 깜짝 방문한 알리 아크바르 살레히 이란 외무장관과 회동한 자리에서 “이스라엘이 테러리스트(시리아 반군…

    더 읽기 »
  • [김국헌의 직필] ‘정보기관스캔들’ 명해결사 레이건

    1986년의 이란·콘트라 사건은 레이건 대통령 정부를 뒤흔든 일대 스캔들이었다. 미국은 레바논의 친이란계 무장단체에 납치된 인질을 석방시키기 위하여 이스라엘을 통하여 ‘적대국’ 이란에 고성능 미사일을 공급하고 그 대금으로 니카라과 공산정권에 반대하는 콘트라에 무기를 공급하는 비밀작전을 폈는데 그 과정에서 콘트라에 무기를 공급하던 항공기가 추락하여 미국이 이란에 미사일을 공급한 것이 밝혀졌다. (이란은 후에 이…

    더 읽기 »
  • 만해평화상 터키 ‘페툴라 귤렌’, “사람들이 내민 모든 손을 잡자”

    2013년 만해평화대상 수상자로 선정된 터키의 저명한 학자이자 교육운동가인 페툴라 귤렌(72, Fethullah Gulen)이 보내온?수상 소감을 한글과 터키어로 소개한다.

    더 읽기 »
  • 서아시아

    [이수리의 이스라엘] 지폐 도안 논란으로 본 유대인 출신 갈등

    이스라엘 중앙은행이 새로 발행할 지폐를 놓고 많은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이스라엘도 여느 다른 나라들과 같이 역사적 인물의 초상 및 유물, 상징 등을 화폐 도안으로 사용하는데, 지폐에 들어갈 인물 선정에 의견이 분분하다. 2008년부터 새 도안을 놓고 다양한 의견이 나왔으나, 2012년 제안된 유대인 시인의 초상으로 최종안이 나왔으며 이중 50세켈과 200세켈 도안만 의회에서…

    더 읽기 »
  • 서아시아

    이집트 기독교 ‘콥트교’ 부활절 엄수

    이집트의 기독교인 콥트교의 부활절을 맞아 교황 타와드로스 2세는 4일(현지시간) 이집트 동방정교 콥트교 성당에서 안전과 번영을 기원하는 축하 미사를 집전했다. 이 성당은 불과 한달 전 종교간 충돌로 무슬림의 습격을 당해 4명이 죽고 이들의 장례식에 다시 테러가 자행돼 수십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곳이다. 이집트의 9000만 인구중 10%정도를 차지하는 콥트교 신도들은 오랫동안 정부의 차별을…

    더 읽기 »
  • 서아시아

    [한-터 FTA 발효] 세속주의 터키, 이슬람주의로 회귀 중?

    *황의현 중동 베스트 블러거가 알자지라 아랍어판 ‘2012년 중동 결산’에서 ‘터키’편을 번역한 것을 정리해 싣는다. 터키의 최근 정치·사회 상황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황의현 블로거는 알자지라, 알아라비야 등 중동 주요 매체의 아랍어 주간 보고서를 꼼꼼히 번역해 블로그에 올리고 있다. 한국외국어대 아랍어과 3학년이며 이집트, 시리아 문제에 관심이 많다. -아시아엔(The AsiaN) ③터키의 정치·사회 지난…

    더 읽기 »
  • 중앙아시아

    [한-터 FTA 발효] 터키, 아랍 민주화의 모델

    ②터키 근대사 터키전문가인 이희수 한양대 문화인류학과 교수가 지난해 <한국-터키 민주화 세미나>에서 발표한 글을 정리해 싣는다. 터키가 이슬람 국가이면서 어떻게 세속주의 나라가 됐고 민주화 과정을 충실히 이행할 수 있었는지 일목요연하게 설명했다. <편집자주> 한국-터키, 알타이 언어와 문화적 친근성 오랜 남성중심의 사회구조, 혈연이나 지연 같은 가족과 지역주의의 강화, 감성적 성향의 우뇌형 문화, 샤머니즘…

    더 읽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