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상익 칼럼] 6공 황태자 치부 들추다…”미련하고 무모했으나 후회는 없다”

어려서부터 나와 오랜 시간을 지냈던 동네 친구가 어느 날 불쑥 내게 이런 말을 했다. “너는 미련한데 잘난 척하고 싶어 해.”

눈치가 빠르고 머리가 잘 돌아가는 친구였다. 그는 돈 냄새도 잘 맡았다. 사업에 성공해 부자가 됐다. 듣기는 거북하지만 나는 그의 말을 귀담아듣곤 했다. 고등학교 시절 그는 내게 “고시라는 게 있어 한 큐 잡는 거야”라고 사법고시의 존재를 알려주었다.

나는 ‘한 큐 잡는다’는 그가 하는 말의 의미를 솔직히 이해하지 못했다. 그의 말대로 나는 미련했다. 살아오면서 상황 파악을 하지 못하고 불쑥 나섰다가 여러 번 반쯤 죽는 매질을 당하기도 했다. 그건 잘난 체라기보다는 나의 무모함이라고 하는 게 더 맞는 표현이었을 지도 모른다. 젊은 날부터 나는 끊임없이 일을 저질렀다.

육군 대위로 있을 때 군의 조직적인 거대한 횡령을 건드렸다가 인생이 절단날 뻔했다. 군에서 병사들이 먹는 쌀과 고기 그리고 휘발유가 몰래 빠져나가는 걸 알았다. 헌병대와 보안부대 그리고 군의 간부가 모두 연결이 되어 있었다. 그런 판도라의 상자를 무모하게 건드렸던 것이다.

여럿이 합쳐 모략의 역공격을 해 왔다. 법무장교인 내가 뇌물을 받고 사건을 무마했다는 거짓정보가 국방부 장관에게 보고되어 거꾸로 피의자가 되어 육군본부에서 수사를 받는 신세가 되기도 했다. 결정적인 순간 천사가 한 장교의 모습으로 나타나 나를 구해주었다.

신기했다. 그가 돕지 않았다면 나는 군사법원에서 징역형을 선고받았을지도 모른다. 억울해도 약자는 조직적인 음모와 권력의 압력에 대항할 수 없었던 시대이기도 했다.

장교 생활을 마치고 정보기관에 근무할 때였다. 권력의 황태자라고 불리던 사람이 청와대에 있었다. 그는 장관을 추천하고 공천에도 영향력을 미치는 대단한 권력이었다. 그에게 눈도장 찍히면 출세가 보장되는 것 같았다. 그는 정보기관은 물론이고 모든 정부 조직을 잡고 있는 것 같았다. 그는 차기 대권의 유망주자였다.

어느 날 그의 비서였던 여성이 내게 스스로 찾아와서 그의 성추행 버릇을 고백했다. 그 여성이 나를 어떻게 보고 그런 말을 했는지는 알 수 없었다. 정보기관 내 특수팀 요원들이 가지고 있는 사적인 자료를 확인해 보았다.

권력의 지형을 알고 있는 정보관들은 자료만 은밀히 가지고 있을 뿐 역린을 건드리는 짓은 하지 않았다. 내가 들은 모든 게 사실이라는 확신이 들었다. 나는 그 문제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 혼자 생각했다. 그 어떤 기관도 그를 건드릴 수 없을 때였다. 언론도 건드리지 않을 것이 틀림없었다.

그런 속에서 나는 양심에 물어보았다. 양심은 하나님의 소리이기도 하다는 생각이었다. 나는 한밤중에 원고지를 꺼내 자필로 그의 지저분한 행위를 낱낱이 적었다. 그리고 지도자를 꿈꾸는 사람이라면 더 이상 그런 불미한 행동이 없기를 요망한다고 썼다. 원고지에 쓴 이유는 그걸 다른 사람을 시켜 공식보고서 형식으로 만들면 비밀이 샐 위험이 있기 때문이었다. 그 원고지 보고서를 청와대에 보냈다. 나의 직책상의 의무라는 생각이었다.

이틀 후 상급자가 나를 불렀다. “당신을 당장 잘라버리라고 위에서 지시가 내려왔어” “왜 목이 잘려야 하죠?” “절대 그럴 분이 아니라고 부인하지 못하고, 그 여자들 말을 믿은 죄야.” “여자들 말이 진실인 것 같던데—” “하여튼 건드리지 말아야 할 걸 건드린 것 같은데 안됐소”

나의 미련하고 무모한 성격이 나의 운명을 만들었다. 나 같은 사람은 출세하지 못하게 프로그램 되어 있는 것 같았다. 머나먼 조상으로 부터 그런 마음의 유전자를 전해 받은 것 같다.

영월 엄흥도 정려각, 단종 시신을 거두었던 영월 호장 엄흥도에 내려진 정려다. 강원도 영월군 영흥리 조선 6대 임금 단종의 장릉 능역내에 있다. 엄흥도는 노산군으로 강봉되어 영월로 귀향 온 단종이 사약을 받고 죽은 후 버려진 시신을 거두어 묻어 주었다. 그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영조 때 정려가 세워졌으며 각을 세웠다. 이후 순조때 충의공이란 시호를 받았으며 이후 공조판서에 증직되었고, 사육신과 함께 영월 창절사에 배향되었다.

세조는 단종을 살해하고 누구든 그 시체를 거두면 죽이겠다고 했다. 단종에 대해 동정적인 말 한마디도 역적이 되는 상황이었다. 양반도 아닌 나의 조상은 버려진 단종의 시신을 보자 그를 땅에 잘 묻어주었다. 그에게 불똥이 떨어졌다. 죽음의 위험이 닥치자 그는 가족을 데리고 깊은 산으로 들어 가면서 왕에게 이런 글을 남겼다.

‘선한 일을 했는데 처벌하겠다면 달게 받지. 해 봐’

우리 조상들은 영월 정선의 깊은 산 속에서 2백년 동안 숨어 살았다고 했다. 어쩌면 나의 무모함에는 조상의 그런 피가 흘러 내리는 지도 모른다. 나는 그런 무모함이 부끄럽지 않다. 미련하고 무모한 성격이 운명을 만든 것 같다.

나는 주제를 알고 있다. 일찍부터 이면도로의 나의 작은 법률사무소에서 책을 읽고 살았다. 틈틈이 성질대로 무모하게 내질렀다. 늙어서는 바닷가의 집에서 글을 쓰면서 산다. 행복하다.

2 comments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