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과 들을 다니다 보면 오래된 무덤들이 즐비하다. 풀이 무성하게 자란 돌보지 않은 어떤 무덤은 그 앞에 있던 비석이 기울어져 땅에 묻혀가기도 했다. 이끼 낀 그 비석에는 무덤 주인의 조선시대 벼슬이 강조되어 새겨져 있다. 내가 사는 곳에서 멀지 않은 두타산 무릉계곡의 바위에는 조선시대에 왔다 간 선비들의 수많은 이름이 깊이 새겨져 있다. 그 시대를 살다 간 사람들에게는 벼슬과 이름이 절대적 가치였던 것 같다.
어려서 조상들의 제사를 지내는 모습을 보곤 했다. 아버지는 지방에 붓으로 조상들의 이름을 쓰고 그 끝에 꼭 ‘학생’이라고 했다. 나중에야 그게 아무 벼슬을 하지 못했다는 의미인 걸 알았다. 중고등학교 시절 자기 조상이 정승을 지내고 판서를 지냈다는 걸 자랑하는 아이가 있었다. 집에 할아버지의 과거 급제한 답안지가 대대로 내려온다고 하는 아이도 있었다. 나는 우리 조상은 ‘학생’이었다고 했다.
사법연수원에서 연수생들에게 각자 죽은 다음 자기의 비석에 적힐 문장을 써내라고 한 적이 있다. 어떤 법조인으로 남을 것인가를 생각하게 하려는 의도였다. 그것들을 모아 ‘아름다운 약속’이라는 책이 만들어졌다. 판검사나 변호사가 될 연수생들은 자기의 비석에 무엇을 써넣고 싶었을까. 대법관이나 장관 국회의원이라는 벼슬을 쓰고 싶은 것은 아닐까. 어쩌면 그럴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연수생들이 쓴 자기 묘비명 중 특이한 몇 개가 나의 메모 수첩에 이렇게 기록되어 있다.
‘고생했다. 푹 쉬어라’
‘그대 왜 그 안에 있는가? 안 답답한가? 별도 없다. 바람도 없다’
차라리 솔직 담백한 묘비명이다. 중광스님은 ‘괜히 왔다 간다’라고 했다. 외국에도 슬며시 미소를 자아내게 하는 묘비명들이 더러 있다. 버나드 쇼는 ‘우물쭈물 하다가 내 이럴 줄 알았지’라고 했다. 니체는 ‘자라투스트라를 버리고 자신을 발견할 것을’이라고 했다. 연수생의 묘비명 중에 이런 것도 있었다.
‘밥보다 술을 더 좋아했으니 술꾼이라 할 수 있고, 나를 보고 얼굴 찌푸리는 자보다 웃는 자가 더 많았으니 개그맨이라 할 수 있고, 돈을 버는 것보다 쓰는 것을 더 좋아했으니 자선사업가라 할 수 있다. 지금 행복하게 반 평 땅에 누워있다.’
선비의 낭만이 스며있는 묘비명이다. 또 다른 이런 묘비명도 있었다.
‘꽁초 가득한 재떨이처럼 항상 타인의 아픔을 받아주었고 그 아픔을 대신하기 위해 힘썼네’
‘세상 사람들 살아가는 대로 때도 묻고, 흐르는 물결대로 휩쓸리면서 뭐 그렇게 살아가는 것 아닌가. 왜 자네는 흐르는 물을 거슬러 오르려고 고집을 피웠나. 한 줌 흙으로밖에 안 남을 인생 물결 흐르는 대로 그렇게 살아가지 뭘 그리 부딪치고 깨어지며 지냈는가. 자네는 세상에 거하되 세상과 타협하지 않고, 사람들과 함께 하기를 즐겼으되 그 속에 매몰되지 않으며 자신의 길을 홀로 걷는 사람이었다네’
선비의 기질이 담겨있는 묘비명이었다. 묘지에는 모든 사람들의 삶이 태어난 날과 죽은 날 사이의 빈 공간에 아무 말 없이 압축되어 있다.
내 젊었던 어느 날 잠시 권력가의 보좌를 했던 적이 있다. 상관은 내게 여당에서 출마한 대통령 후보를 은밀히 만나 그 그릇을 살피고 오라고 했다. 언론의 시선을 의식해 직접 만나지 못하고 대신 나를 시킨 것이다. 나는 그릇을 알기 위해 어떤 질문을 할 것인가 고민했다. 대통령 후보를 조용한 장소에서 은밀히 만났다. 우리 두 명뿐이었다. 내가 그에게 물었다.
“당신은 누구입니까?”
그가 잠시 침묵하면서 생각하다 대답했다.
“아무것도 아닙니다.”
“당신은 무엇을 했습니까?”
내가 다시 물었다.
“아무것도 한 게 없습니다.”
“어떤 나라를 만들고 싶으십니까?”
그는 말을 아꼈다. 집안의 몰락과 바꾼 김구 선생이 꿈꾸던 나라를 만들고 싶어 하는 것 같았다.
그에게 했던 질문을 이따금씩 나에게 던진다. 나는 누구인가. 먼지다. 그걸 아는 데 수십년이 걸렸다. 먼지인 줄을 모르고 세상의 중심에 나를 놓았었다. 내 속에 눈금이 총총한 짧은 자를 가지고 있었다. 그걸로 모든 걸 쟀다.
길이만 알고 부피와 무게가 존재한다는 걸 알지 못했다.
나는 무엇을 했느냐고 내게 물었다. 본능과 욕심에 따라 짐승같이 살아왔다. 높은 자리에 앉아 군림하고 싶었고 부자가 되고 싶었다. 어리석음과 분노에 휩쓸렸다. 미움과 시기의 병에 걸려있었다. 어느 날부터인가 성경이 내 인생항해의 키가 되어 방향을 틀어주었다. 기도가 돛이 되어 성령의 바람을 함뿍 받았다. 다시 태어난 것 같았다. 세계를 흐르며 지구별 구경을 했다.
절규하는 사람들과 함께 어두운 터널을 동행해 주었다. 그게 변호였다. 한자 한자 또박또박 글을 써서 세상에 대고 외쳐주기도 했다. 노년이 된 지금 바닷가의 집에서 휴식을 취하고 있다. 잔잔하게 내려쬐는 햇볕에 감사하며 허락받은 남은 날들을 충만하게 채우려 한다. 감사하며 흙으로 돌아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