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음] 5월21일
▲김관일 前 서울특별시 지방행정 서기관 별세, 정구 육군본부 사업기획장교·동호 서울문화예술대 서양화과 교수·명은 광진구청 사무관 부친상, 장윤선 해태제과 팀장 장인상=20일3시30분 서울아산병원, 발인 22일6시, (02)3010-2295 ▲양승효 前 전남대 공대학장 별세, 성모 전북대 정밀기계공학과 교수·형모 광주참빛안과원장 부친상, 서범석 前 교육부 차관 장인상=19일21시15분 광주조선대병원, 발인 22일9시, (062)231-8901 ▲강승태 세븐아이즈투자자문 대표·승철 前 산업은행 미국현지법인 차장…
더 읽기 » -
[인사] 5월21일
▲방송통신위원회 ▷대변인 조경식 ▲과학기술인공제외 <본부장급> ▷자산운용본부장 박한재 <실장급> ▷정책연구소장 직무대행 임종철▷윤리경영담당관 이춘기▷전략기획실장 박정훈▷경영지원실장 김형철▷회원복지실장 김윤기▷총괄담당관 정금만▷운용1실장 홍순조▷운용2실장 박양래
더 읽기 » -
사회
[5월21일] 인도네시아 독재자 수하르토 하야
2008년 장나라씨 쓰촨성에 학교 추진 2008년 5월21일 한국의 연예인 장나라씨가 지진 피해로 고통받는 중국 쓰촨성에 소학교(초등학교)를 세우기 위해 기부와 함게 모금운동을 벌이기 시작했다. 먼저 장나라씨 팬클럽은 지진피해복구를 위해 10만 위안(약 1500만원)을 중화자선총회에 기부했다. 장씨의 아버지인 연극배우 주호성씨는 이날부터 기금을 모아 쓰촨성에 ‘나라희망학교’(가칭)를 세울 계획이라고 밝혔다. 당시 4500만원쯤을 모금할 것으로 계획됐고,…
더 읽기 » -
사회
주커버그 결혼녀 ‘찬’은 ‘페북 중독’
5월19일 페이스북 창업자 마크 주커버그와 결혼한 프리실리아 찬(Priscilla Chan)은 5초에 한번 자신의 휴대폰을 확인하며 하루를 시작할 때 이메일보다는 페이스북을 먼저 확인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여러 휴일 중에서 추수감사절을 가장 좋아하며, 빈라덴의 죽음을 가장 먼저 알게 된 채널이 페이스북일 정도로 페이스북에 중독돼(addicted) 있는 셈이다. 프리실리아 찬의?페이스북(www.facebook.com/priscilla)을 보면 그녀는?2011년 3월20일 전 세계에 마크…
더 읽기 » -
[김정룡의 東北亞] ‘라쇼몽’을 통해 본 中·日의 차이
중국학생들 문학 작품 계급투쟁 관점으로만 인식 일본근대문학 거장 아쿠다가와 류노스케(芥川龍之介 : 1892~1927)의 처녀작 <라쇼몽(羅生門)>의 줄거리를 요약하면 이렇다. 생전에 뱀 말린 것을 마른 생선으로 둔갑시켜 팔아먹으며 생계를 유지하던 한 여성이 라쇼몽 노상에 시체로?버려졌다. 집 주인한테 쫓겨난 하인이 을씨년스럽고 공포에 짓눌린 이 거리에서??한 노파가 시체의 머리카락을 뽑는 것을 목격한다. 사내는 시체의 머리카락이…
더 읽기 » -
사회
[5월20일] 동티모르 대통령 취임하는 날
2010년 피카소·마티스 등 그림 5점 도난 2010년 5월20일 프랑스 파리의 현대미술관에서 거장들의 그림이 한꺼번에 도난당했다. 피카소와 마티스, 모딜리아니 등의 그림 5점이 사라진 것이다. 1억 유로(당시 환율로 한국 돈 1477억 원) 상당의 미술품들이었다. 프랑스 경찰은 이날 “미술관 직원들이 이날 출근해서 도난 사실을 확인하고 신고해왔다”고 밝혔다. 도난 작품은 파블로 피카소의 <비둘기와 완두콩>,…
더 읽기 » -
동아시아
[신귀만의 포토월드] 은은한 향기가 나는 춤꾼 엄선민
교방살풀이춤을 추는 무용가 엄선민. <사진=신귀만 작가> 작은 정성들이 모여 표현되는 춤 어린 시절 유치원에서 발레를 접할 기회가 있었다. 예쁜 옷을 입고 우아한 동작들을 하며 춤을 추는?것이?무척 즐거웠다. 그렇게 발레를 하며 발표회를 하기도 했었지만?학업 등의 이유로 인문계 고등학교에 진학하게 됐다. 그렇지만 어릴 때의 기억은 무용에 대한 꿈을 잊지 않게 해줬다. “무용을…
더 읽기 » -
정치
진보·보수 대표논객들 “통일정책 접점 가능하다”
진보·보수 “국가연합 방식이 적절, 흡수보다는 점진적 통일돼야” “김태우(보수) 원장과 문정인(진보) 교수가 국가보안법 문제를 두고 비슷한 생각을 갖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모든 패널들이 흡수통일을 우려하며 국가연합으로 가야한다고 의견의 일치를 보이는 등 진보와 보수가 통일정책에 있어 의견의 접점을 찾았다는 것은 고무적인 일이다” 18일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에서 열린 ‘남북관계 및 통일정책’ 토론회에서 사회를…
더 읽기 » -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