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션1] 발제문: 인도-파키스탄 언론에 비친 카슈미르 영토분쟁

    인도-파키스탄 언론에 비친 카슈미르 영토분쟁 이윤삼(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겸임교수)     1. 들어가며 인도-파키스탄 영토분쟁에 대한 양국 언론의 보도를 분석하기 전에 미국 언론사에 나타난 ‘영토분쟁’ 이야기를 하고 싶다. 언론이 전쟁의 시작과 끝에 얼마나 영향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한 논란이다. 에머리(Michael Emery and Edwin Emery)가 쓴 미국의 저명한 언론사 교재 <The Press…

    더 읽기 »
  • 사회독도는, 우리의 독립의 상징이다!

    [세션1] 발제문: 터키 언론의 눈으로 본 동북아 영토 분쟁

    터키 언론의 눈으로 본 동북아 영토 분쟁 Alpago Sinasi(터키 Cihan 통신사 특파원) 1- 조어도 문제       조어도 영토 문제가 터키 언론에서 제일 유명해진 시기는 도쿄 도지사가 조어도를 구입하겠다는 발언을 한 시점이다. 조어도 영토 문제는 터키 언론에 보도될 때마다, “동북아에서 바다가 끓고 있다” 혹은 “아시아에서 긴장 계속” 등의 표현과…

    더 읽기 »
  • [세션1] 발제문: 댜오위타오(센카쿠 열도)와 남중국해 영토분쟁에 대한 각국 언론의 보도 경향

    댜오위타오(센카쿠 열도)와 남중국해 영토분쟁에 대한 각국 언론의 보도 경향 허영섭(언론인) 1. 댜오위타오(센카쿠 열도)의 분쟁 현황 현재 동아시아 지역에서 일어나고 있는 영토분쟁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경우가 중국과 일본 사이의 댜오위타오(釣魚島, 일본명 센카쿠.尖閣열도) 분쟁이다. 지난해 9월 일본의 민주당 정부가 동중국해에 위치한 이 열도를 국유화하면서 양국간 분쟁은 더욱 격화되기 시작했다. 5개의 무인도와 3개의…

    더 읽기 »
  • [세션1] 토론문: 사와다 가쯔미

    일본 언론의 영토문제 접근법 澤田克己 (사와다 가쯔미, 일본 마이니치신문 서울특파원)   언론의 역할이나 언론에 기대하는 기능이라는 것은 사회에 따라 다르다. 한국에서는 신문사나 방송국을 “언론”이라고 부르는 반면, 일본에서는 “보도기관”이라고 부른다는 것은 그것을 상징하고 있다. 일본에서도 메이지 시대에는 “大新聞 (오오신분)”과 “小新聞 (고신분)” 두 가지가 있었다. 大新聞은 크기가 현대의 신문에 가까운 크기로 논설을…

    더 읽기 »
  • [세션2] 발제문: 영토분쟁의 평화적 해결을 위한 언론의 역할

    영토분쟁의 평화적 해결을 위한 언론의 역할 (Media’s role for the peaceful resolution on territorial conflict) 윤재석(CBS 국제담당 해설위원)   1. 아시아 영토분쟁 현황 가. 아시아 지역 영토분쟁   나. 센카쿠 열도(釣魚島)→中-日-臺灣 1) 동중국해상에 위치한 8개 섬으로 구성 – 타이완 북동쪽 190km, 중국 동쪽 350km, 일본 오키나와 서남쪽 400km 거리에 위치…

    더 읽기 »
  • [세션2] 발제문: The Media’s Role in the Solution to the Territorial Disputes in Asia

    The Media’s Role in the Solution to the Territorial Disputes in Asia Michael Prieler(Ph.D, Professor at Hallym University)   Ladies and Gentlemen, It is my great honor to speak here at the 2013 Seminar of the Asia Journalist Association. I would like to thank the Asia Journalist Association and especially…

    더 읽기 »
  • [세션2] 발제문: 동북아시아 영토분쟁의 평화적 해결을 위한 언론의 역할

    동북아시아 영토분쟁의 평화적 해결을 위한 언론의 역할 이병효(오늘의코멘터리 발행인)   1. 머리말 위키피디어에서 ‘territorial disputes’라는 항목을 찾아보면 현재 아시아·태평양 지역에는 모두 73건의 영토분쟁 사례가 나와 있다. 이 가운데 동북아에 국한해서 보면 7건의 영토분쟁이 있는데, 주요한 것만 추려 본다면 일·중 간의 센가쿠열도/디아오위타이, 한·일 간의 독도/다케시마, 러·일 간의 남쿠릴/북방영토 등 3건을 꼽을…

    더 읽기 »
  • [세션2] 발제문: 동북아 영토분쟁의 군사적 의미와 시사점

    동북아 영토분쟁의 군사적 의미와 시사점 한용섭(국방대학교 교수) 1. 서 론 중국의 부상과 함께 세계의 전략적 중심이 동북아로 옮겨 옴에 따라, 미국의 대 아시아 태평양 정책도 전환되기 시작했다. 미국의 오바바 행정부는 취임 초부터 아시아 중시정책을 추진해 오다가, 2010년에 아시아 중시정책을 ‘아시아로의 회귀 (pivot)’ 혹은 ‘아시아로의 재균형 (rebalancing)’이라고 명명하고, 이 정책을 실천하기…

    더 읽기 »
  • 사회

    [세션1] 발제문: 한국언론 사진에 비친 동북아 영토분쟁 보도

    한국언론 사진에 비친 동북아 영토분쟁 보도 고명진(영월미디어기자박물관장, 전 한국사진기자협회장)   독도 영유권을 부당하게 주장 해온 일본이 사상 처음 정부 당국자가 참석한 가운데 ‘다케시마의 날(竹島·독도의 일본식 명칭)’ 기념 행사를 2월22일 열었다. ‘다케시마의 날 행사는 지방자치 단체인 시마네(島根)현이 주관했지만 일본 중앙 정부 당국자로는 최초로 시마지리 아이코(島尻安伊子) 해양정책·영토문제 담당 내각부 정무관(차관급)이 참석했다.

    더 읽기 »
Back to top b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