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0년에 한 번 나올까 말까 한 공무원’. 내가 교육부 장관 시절에 했던 말이 지금도 회자되고 있다. 다시 생각해도 맞는 말이다.”(이해찬 전 국무총리) “그의 지칠 줄 모르는 일에의 열정, 교육에 관한 전문적 식견, 그 밖에 그가 신중히 여기는 따뜻한 인간관계”(김황식 전 국무총리) “하위직 공무원에서 시작하여 차관까지 한 계단 한 계단 올라가면서 부딪히는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이 인상적이고 감동적이다.(박성훈 인천재능대학교 이사장)
이기우 전 재능대총장에 대한 평가다. 그렇다. 이기우 전 총장이 작년 가을 낸 <이기우의 행복한 도전>(알파미디어)에 두명의 전직 국무총리와 재능그룹 회장이 쓴 추천 글은 되레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아시아엔>은 이 전 총장의 자서전 격인 <이기우의 행복한 도전>을 연재한다. 또한 아시아엔 영어판에도 번역, 게재해 영어권 독자들도 읽을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이기우 총장과 같은 공직자가 해외에서도 많이 배출됐으면 하는 바램에서다. <편집자>
‘100년에 한 번 나올까 말까 한 공무원’
[아시아엔=이해찬 제36대 국무총리, 더불어민주당 당 대표] 이기우 총장은 꾸준한 사람이다. 공무원이 9급에서 차관까지 오르는 과정에서 자신을 지키는 것은 결코 쉽지 않다. 이 총장에게는 그의 삶 전체를 관통하는 분명한 자기 철학이 있다. 그것이 그를 뚝심 있는 리더로 만든 원동력이다. 그래서 이 총장을 좋아하는 사람이 많고, 나도 그렇다.그는 일을 참 잘한다. 교육부와 국무총리실에서 함께 일할 때도 무엇이든 그가 하면 든든했다. 이 총장이 국무총리 비서실장에서 교육부 차관으로 자리를 옮기고 난 후에도 그를 대신할 사람을 찾지 못했다. 오죽했으면 내가 총리의 짐을 벗을 때까지 비서실장을 공석으로 남겨 두었겠는가.
이 총장 주위에는 사람이 많다. 매우 원활하게 소통한다. 내 편 네 편 없이 말이다. 그가 일을 잘할 수 있는 배경도 사람에 대한 이해와 존중, 애정에서 비롯되었다. 이 총장은 공무원과 교육자 또 한 인간으로서도 귀감이 되는 인물이다. 다양한 측면에서 그는 연구할 만한 가치가 있다.
이 총장에게는 흐뭇한 스토리가 많다. 그의 자서전 『이기우의 행복한 도전』에는 공감과 감동, 소중한 지혜를 담은 이야기들이 생생하게 펼쳐져 있다. 이 책을 읽는 동안 이 총장과 함께했던 시간들이 극적인 영화처럼 떠올랐다.
‘100년에 한 번 나올까 말까 한 공무원’, 내가 교육부 장관 시절에 했던 말이 지금도 회자되고 있다. 다시 생각해도 맞는 말이다.
‘전문성과 따뜻한 성품을 지닌 사람, 이기우 총장’

그 후 나는 이기우 총장에 대해 더욱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기우 총장은 9급 공무원으로 시작하여 각고의 노력을 다해 국무총리 비서실장, 교육부 차관에 이르렀고, 그 후 인천재능대학교 총장과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회장을 맡아 큰 성과를 내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그의 삶은 한마디로 말해 끊임없는 탐구와 도전의 연속이었다. 그는 교육전문가로서 만 3∼5세 아동 누리과정 도입, 학교폭력 근절 범정부 종합대책, 대학입학 특별전형 개선, 교권보호 종합대책 등 다양한 교육정책을 마련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이기우 총장이 이번에 출간하는 자서전 『이기우의 행복한 도전』에는 오늘의 이 총장을 있게 한, 그의 지칠 줄 모르는 일에의 열정, 교육에 관한 전문적 식견, 그 밖에 그가 신중히 여기는 따뜻한 인간관계 등 재미있고 감동적인 이야기들이 담겨 있다. 일독을 권한다.
‘4선 연임 총장과 9관왕의 신화’

교육부에서 지원하는 각종 사업을 휩쓸었다. 취업률 수도권 1위, 세계적 수준의 대학 선정 등 9관왕에 오르며 전국에서 벤치마킹을 가장 많이 오는 1등 대학이 되었다. 나는 학교를 위해 헌신하는 이 총장에게 4년 임기의 총장을 4선이나 연임하도록 했다.
『이기우의 행복한 도전』을 통해 이 총장을 더욱 이해하게 되었다. 진실, 성실, 절실의 삼실철학이 탄생하게 된 배경을 흥미롭게 읽었다. 하위직 공무원에서 시작하여 차관까지 한 계단 한 계단 올라가면서 부딪히는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이 인상적이고 감동적이었다.
공무원 시절의 지혜와 경륜이 있었기에 인천재능대학교에서 총장 신화를 쓸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이 책은 공무원과 대학 경영자나 교직원들에게 영감과 지혜를 선물하고 있다. 이 총장의 염원처럼 교육이 희망이 되고, 사람이 희망이 되는 나라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