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인문학

  • 칼럼

    [커피 한국사①] 커피를 가장 먼저 마신 한국인은 누구일까?

    [아시아엔=박영순 커피비평가협회 회장, <커피인문학> 저자, 전 세계일보 기자] 커피를 가장 먼저 마신 한국인은 누구일까? 한국의 커피 역사는 얼마나 깊을까? 고종 황제가 커피를 드신 최초의 조선인이라는 말이 있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다. 이보다 12년 앞서 한양에는 커피가 식후 디저트로 제공됐다는 기록이 이를 증명한다. 한국 최초의 신부이자 순교자인 김대건(1821~1846) 신부가 마카오에서 신학공부를 할…

    더 읽기 »
  • 칼럼

    [박영순의 커피인문학-인도③] 그늘서 자라는 몬순커피가 ‘주종’

    [아시아엔=박영순 커피테이스터, CIA 플레이버마스터, 서원대 외래교수] 인도커피는 대부분 남부지역에서 나온다. 카르나타카(Karnataka), 케랄라(Kerala), 타밀 나두(Tamil Nadu)가 대표적인 커피생산지다. 이들 지역은 수풀이 무성하고 우기가 규칙적이며, 높은 산맥이 지나는 곳이어서 커피가 자라기에 최적인 것으로 손꼽힌다. 인도커피는 95%가 그늘에서 자라는 덕분에 열매가 천천히 성숙돼 자연적인 당(Natural sugars)의 함량이 높아지고, 따라서 향미도 더욱 풍성해진다. 그늘재배…

    더 읽기 »
  • 사회

    [박영순의 커피인문학] 커피와 인류, 누가 더 똑똑한가?

    [아시아엔=박영순 <아시아엔> 커피전문기자] 커피는 생각할수록 참 영악(靈惡)하다. 생명체마다 나름대로 생존과 번식 능력을 타고 난다지만, 커피는 특이한 구석이 있다. 같은 커피라도 로부스타 품종은 벌과 나비를 유혹해 번식하고, 아라비카 종은 자가수분을 한다. 개화기면 로부스타 나무들이 심겨진 산은 마치 눈이 내린 것 같다. 오랜 진화과정에서 수분매개체인 벌과 나비를 보다 많이 끌어들이기 위해선 꽃을…

    더 읽기 »
  • 동아시아

    [박영순의 커피인문학]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콜롬비아 킨디오’를 가다

      [아시아엔=박영순 <아시아엔> 커피전문기자] 세계 커피 소비량이 2011년 이래 연평균 2.5% 증가하고 있다. 그 기세가 꺾일 줄 모른다. 2014년에는 세계적으로 60kg들이 커피가 1억5천만 포대가 팔려나갔다. 여기에 중국이 커피에 눈을 뜨면서 시장을 삼킬 블랙홀로 부상하고 있다. 최근 10년간 중국 커피 소비량이 연평균 12.8%로 고속성장했다. 2020년에는 중국 커피 소비량이 500조원을 넘길 것으로…

    더 읽기 »
  • 동아시아

    [박영순의 커피인문학 ‘플랫화이트’①] 실패가 빚어낸 소중한 가치

    [아시아엔=박영순 <아시아엔> ‘커피’ 전문기자] 영국 속담에 “넘어짐으로써 안전하게 걷는 법을 배운다(By falling, we learn to go safely).”는 말이 있다.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라는 말이겠다. 그런데 카페의 메뉴들 가운데 플랫화이트(Flat white)의 탄생은 “넘어짐으로써 금덩이를 얻었다”에 비유할 만하겠다. 플랫화이트가 호주 혹은 뉴질랜드에서 만들어져 세계에 퍼지기 시작한 지 어느새 30년이 훌쩍 넘었다. 플랫은 ‘평평하다’,…

    더 읽기 »
  • 동아시아

    [박영순의 커피인문학 ‘플랫화이트’②] 카푸치노·카페라테·에스프레소의 장점 한곳에

    [아시아엔=박영순 <아시아엔> ‘커피’ 전문기자] 플랫화이트의 세번째 특징은 ‘작지만 강한(Small but Strong)’이다. 플랫화이트를 담아 손님에게 제공하는 잔의 크기가 카푸치노나 카페라테에 비해 작아 ‘스몰’이지만, 우유가 섞이는 양이 적기 때문에 에스프레소의 맛이 상대적으로 세기 때문에 ‘스트롱’이다. 카푸치노와 카페라테의 제조법은 국가나 지역에 따라 제각각이어서 어느 한 기준이 옳다 그르다고 할 수 없게 된 실정이다.…

    더 읽기 »
Back to top b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