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엔=중국을 읽어주는 중국어교사 모임] 중국에는 슬픔을 달래는 모자라는 뜻의 ‘처우마오즈(愁帽子)’가 있습니다. ‘부모님이 돌아가시면 효자는 모자를 쓴다’는 옛 풍습에서 비롯된 말이지요. 이 때문에 모자가 집안의 불행을 뜻하게

[아시아엔=중국을 읽어주는 중국어교사 모임] 중국에는 슬픔을 달래는 모자라는 뜻의 ‘처우마오즈(愁帽子)’가 있습니다. ‘부모님이 돌아가시면 효자는 모자를 쓴다’는 옛 풍습에서 비롯된 말이지요. 이 때문에 모자가 집안의 불행을 뜻하게
[아시아엔=중국을 읽어주는 중국어교사 모임] 중국 청년도 우리나라처럼 의무적으로 군대에 가야 할까요? 중국은 우리나라와 같은 의무 징병제가 아닌 자원입대 방식인 ‘모병제’ 국가입니다. 그렇다면 본인이 군대에 가기를 원하기만
[아시아엔=중국을 읽어주는 중국어교사 모임] 중국에서도 인기가 높은 한류 스타 전지현의 본명은 ‘왕지현’입니다. 우리나라에서 왕(王)씨는 드문 성씨라서 데뷔 초부터 화교(華僑)가 아니냐는 의혹이 끊이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본인은 물론
[아시아엔=중국을 읽어주는 중국어교사 모임] 중국의 대표적인 국민 가수 한홍의 프로필을 검색하면 특이한 점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와는 달리 연예인 약력에 민족을 소개하는 부분이 있다는 것이지요. 이
[아시아엔=중국을 읽어주는 중국어교사 모임] 중국 사람은 예로부터 땔감, 쌀, 기름, 소금, 간장, 식초, 차를 생활필수품으로 생각해 왔습니다. 차가 7대 생활필수품 중 하나라고 하니 중국 사람의 차
[아시아엔=중국을 읽어주는 중국어교사 모임] 공자(콩즈)는 중국 춘추시대의 저명한 정치가이자 사상가, 교육가이며 유학의 창시자입니다. 그는 요순시대부터 하・은・주 시기의 문화와 학술을 정리하여 자신의 학문적 기초로 삼았고, 이는
[아시아엔=중국을 읽어주는 중국어교사 모임] 중국어를 하려면 한자를 얼마나 알아야 할까요? 중국어를 배우려고 할 때 한자에 대한 걱정 때문에 두렵지 않았나요? 하지만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우리나라는 한자
[아시아엔=중국을 읽어주는 중국어교사 모임] 성(姓)은 女(여자 여)+生(날 생)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한자로 ‘여자가 아이를 낳았음’을 뜻합니다. 이 글자로 아주 오래전에는 어머니 성(姓)이 중심인 모계 사회였다는 사실을 짐작할
[아시아엔=중국을 읽어주는 중국어교사 모임] 『서경』의 홍범 편 기록에는 중국은 주(周)나라(B.C. 1046~B.C.771) 때부터 식사 예절이 존재했다고 합니다. 이때부터 식사 예절이 한 나라의 문명 척도를 평가하는 기준으로 여겨지곤
[아시아엔=중국을 읽어주는 중국어교사 모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는 전화기처럼 현대인에게 필수적인 소통 매개체입니다. 2004년 서비스를 시작한 페이스북, 2006년 서비스를 시작한 트위터는 대표적인 SNS이지요. 전 세계인들이 가입하여
[아시아엔=중국을 읽어주는 중국어교사 모임] 세종대왕, 이순신, 이황, 이이, 신사임당. 지금 나열한 사람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요? 맞습니다!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훌륭한 위인인 동시에 대한민국 지폐 모델로 활동하고 있는
[아시아엔=중국을 읽어주는 중국어교사 모임] 여러분은 중국하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나요? 쯔진청(자금성)이나 만리장성 같은 유적지가 생각나나요? 혹시 사람들이 바글바글 넘쳐 나는 거리가 생각나지는 않나요? 중국은 세계 제1의
[아시아엔=중국을 읽어주는 중국어교사 모임] 대한민국 국토 면적의 100배(한반도 면적의 44배). 세계 3위라는 넓은 국토를 자랑하는 중국. 땅 넓이와 많은 인구만큼 다양한 먹거리를 자랑하는 중국은 어디를
[아시아엔=중국을 읽어주는 중국어교사 모임] 우리나라 사람은 매끼마다 밥을 먹지 않으면 제대로 식사를 한 것 같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그럼 우리와 가까운 이웃인 중국 사람도 매끼 밥을 먹을까요?
[아시아엔=중국을 읽어주는 중국어교사 모임] 우리는 모두 축복을 받으며 태어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아기가 태어나서 100일이 되면 그동안 무사히 자란 것을 대견하게 여기며 잔치를 벌입니다. 또한 태어난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