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엔=손혁재 시사평론가] -1876(조선 고종 13) 한글학자 한힌샘 주시경 탄생 -1934 시인 김소월(본명 김정식) 별세. ‘진달래꽃’ ‘산유화’ -1937 일왕 사진 각급 학교 배부하여 경배케 함 -1957
![](http://kor.theasian.asia/wp-content/plugins/jetpack/modules/lazy-images/images/1x1.trans.gif)
[아시아엔=손혁재 시사평론가] -1876(조선 고종 13) 한글학자 한힌샘 주시경 탄생 -1934 시인 김소월(본명 김정식) 별세. ‘진달래꽃’ ‘산유화’ -1937 일왕 사진 각급 학교 배부하여 경배케 함 -1957
[아시아엔=편집국] 2002년 한일월드컵은 붉은 티를 입은 ‘붉은악마’와 응원가 ‘오 필승 코리아’가 주도했다. 그때 그 함성, 올 러시아월드컵 거리응원에서도 울려퍼지고 있다. 그후 16년, 대통령은 김대중-노무현-이명박-박근혜에 이어
[아시아엔=이홍주 대중문화평론가] 요즘 토요일마다 광화문에 가면 속이 후련해지는 얘기도 듣고, 멋진 콘서트 열기도 덤으로 느낄 수 있다. 이승환, 클라잉 넛, 전인권, 양희은, 안치환, 한영애 등등
[아시아엔=최명숙 시인] 있을 뿐 종로 안국동 광화문은 밤늦도록 함성들리고 막혔건만 역사의 문은 살아있다 이것도 아니고 저것도 아니다 혹은 너도 아니고 나도 아니니, 다만
[아시아엔=이홍주 대중문화평론가] 흔히 최다관객이 몰리는 콘서트로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열리는 ‘도나우인셀 페스트’를 꼽는다. 무대 30개, 출연가수 2000팀 총관객 300만명. 1회 공연에 20만명 내외. 북아프리카 모로코에서 열리는
[아시아엔=이홍주 대중문화평론가] 예전의 대전 ‘보문산공원’을 기억한다. 당시 MBC에서는 주요 지방도시를 순회하는 대형 음악프로그램을 제작·방송했는데 중간 중간 지역 명물 소개도 담았다. 무엇보다 당시로서는 최고의 인가가수들이 펼쳐내는
[아시아엔=편집국]?타고르가 1929년 쓴 시다. ‘동방의 등불’. 일찍이 아시아의 황금 시기에?빛나던 등불의 하나 코리아. 그 등불 한번 다시 켜지는 날에 너는 동방의 밝은 빛이 되리라. 오늘
[아시아엔=손혁재 시사평론가] 촛불의 분노한 퇴진함성을 대통령은 모르쇠 한다. 퇴진사유는 차고 넘친다. 헌정을 유린하고 국정을 문란시켰으며, 비선의 사적 탐욕을 채워주고자 국가권력을 총동원했다. 취임선서 내용을 몽땅 짓밟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