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 영토분쟁 ‘미해결의 해결’ 제안

아시아기자협회가 2월28일 주최한?세미나는 두개의 세션으로 나뉘어 진행됐다. 세션1에서는 고명진 영월미디어기자 박물관장, 허영섭 전 경향신문 논설위원, 알파고 시나씨 터키 지한통신사 한국특파원, 이윤삼 서강대 겸임교수가 각국 언론에서 아시아 지역의 영토분쟁 사안을 어떻게 보도하고 있는지 발제했으며, 토론자로 사와다 가쯔미 마이니치신문 특파원, 이동렬 동북아신문 대표, 장세정 중앙일보 외교안보팀장, 박관우 불교방송 보도국장이 나왔다.

?아시아기자협회 세미나서 영토분쟁 해결위한 언론 역할 모색?

“언론은 양국간 영토분쟁을 힘을 과시하는 기회로 삼지 말아야 한다”

아시아기자협회(AJA)가 2월28일 서울 미근동 동북아역사재단 대회의실에서 개최한 세미나서 알파고 시나시 터키 지한통신사 특파원은 “언론은 제3자의 입장에서 객관적이고 양심적으로 써야한다”며 “실제 그렇지 않은데 심각한 영토분쟁이 있다는 이미지를 독자들에게 심어주면 안 된다”고 말했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사장 이성준) 후원으로 열린 이날 세미나에서 주제발표자와 토론자들은?‘영토분쟁의 평화적 해결을 위한 아시아 언론의 역할’을 주제로 열띤 토론을 벌였다. 참석자들은 언론이 민족주의를 극복하고 정제된 단어사용, 객관적 사실 보도 등을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병효 ‘오늘의 코멘터리’ 발행인은 “우리나라 사람들을 ‘Short Man Syndrome(덩치가 작다는 것에 대한 과민반응으로 키 크고 힘센 이웃에 대해 쓸데없이 공격적으로 행동하는 것)’이 있는 것처럼 말하는 것은 달가운 이야기는 아니지만 냄비처럼 쉽게 달아오르고 극단으로 흐르는 버릇은 분명히 경계해야 한다”며 “민족주의는 물론 이념 편향까지 극복해 동북아 전체의 평화의 기조를 정착시키는데 언론이 앞장서야 한다”고 말했다.

윤재석 CBS 국제담당 해설위원은 국수주의 저널리즘에서 벗어나 글로벌 관점에서 영토 분쟁을 다뤄야 한다고 주문했다. 그는 “영토분쟁과 관련한 터무니없는 자국 정부 주장을 그대로 베껴쓰고 선정보도로 시위 등을 부추기는 일을 삼가야 한다”며 “언론인들은 영토분쟁 관련 학습 방안을 강구하고 관련국 기자들과 정례 또는 일시 회의, 분쟁 경험국 저널리스트를 초청해 라운드 테이블회의 등을 가져야 한다”고 제안했다.

세션2에서는 한용섭 국방대 부총장, 이병효 전 한겨레 정치부 차장, 마이클 프릴러 한림대 언론정보학부 교수, 윤재석 CBS 국제담당 해설위원이 발제자로 나와 영토분쟁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위한 아시아 언론의 역할에 대해 발표했으며?안병준 신문윤리위원회 위원,?아오야마 슈지 홋카이도 신문 서울지국장, 손봉석 경향신문 기자, 최유화 KTV 글로벌리포터 등이 토론자로 나섰다.

민족주의?벗어나고?’망언’ ‘도발’ 등 용어 사용 신중해야

일본 기자들은 영토분쟁과 관련한 기사를 쓸 때 객관적인 시각을 유지해 단어 사용부터 신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와다 가쯔미 마이니치신문 서울 특파원은 “일본 언론은 과거 세계대전당시 정부의 제국주의에 동조했다는 반성으로 민족주의를 부추기는 기사는 안 쓰려고 노력한다”며 “특히 도발, 망언 등의 단어도 사용하지 않고 ‘우리나라’란 표현도 하지 않는다. 다케시마를 쓸 때도 괄호에 독도를 병기한다”고 밝혔다.

진보성향의 신문으로 알려진 홋카이도신문의 아오야마 슈지 서울 특파원도 “반일이란 단어를 사용하지 않고 감정적인 보도는 철저히 배제한다. 할 수 있는 한 객관적 시각을 유지하려고 애쓴다”고 말했다.

토론자로 나선 중국인 최유화 KTV 글로벌리포터(서울대 박사과정)도 “영토분쟁지에 대한 이해국의 명칭도 함께 쓰고 특히 망언 등의 단어 사용을 자제해야 한다”고 밝혔다.

전쟁, 영토분쟁 등을 다룰 때는 미디어의 한계를 인정하고 출발해야 한다는 의견도 개진됐다.

‘인도-파키스탄 언론에 비친 카슈미르 영토분쟁’을 발제한 이윤삼 서강대 언론대학원 겸임교수(전 시사저널 편집장)는 “과거 미국-스페인전쟁, 베트남 전쟁에서 밝혀졌듯이 언론이 전쟁이나 영토분쟁 등 국제적, 국가적 사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주요행위자는 아니다. 미디어 중심사고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언론이 용기를 내 역사적 반성을 이끌어 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근대사에서 세계열강들이 무력으로 점령한 영토이기 때문에 이를 인정하는 게 먼저라는 것이다. 장세정 중앙일보 기자는 “아시아 영토분쟁은 식민지 침략사에서 출발한다”며 “제국주의 열강을 꿈꾸던 국가의 언론들이 용기를 내 진실을 밝힐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허영섭 전 경향신문 논설위원 역시?“언론이 정부의 대리전을 하며 역할이 제한적일 수 있지만 역사적 사실 되돌아 보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날 세미나에는 유명량 주한 대만대표부 공보관과 외국인 유학생 10여명 등 50여명이 참관했다.

오스트리아 출신 프릴러 교수 “독도 공유지로 선포하고 평화의 섬으로”

이날 세미나 주제를 넘어 독도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도 제시됐다. 포문은 오스트리아 출신의 마이클 프릴러 한림대 언론정보학과 교수가 열었다. 그는 “독도를 공유지로 하고 평화의 섬으로 지정하자”며 “제3자의 입장에서 독도문제는 한일 간에 소모적인 외교력만 키우는 섬으로 비춰진다”고 말했다.

이병효 대표는 일괄타결 방안을 제안했다. 그는 “현실성은 떨어지지만 만족도 높은 상책은 일본이 한·중·러에 분쟁 영토를 양보하고 국제사회의 높은 위상을 받아내는 윈-윈 방식이고, 차선의 방법으로 영토문제를 이 시점에서 동결하고 어업과 에너지자원, 무역에 대해 한·중·일 3국이 별도 협정을 적극 검토하는 방안을 제안한다”고 말했다.

그는 “현상 동결방안은 각 국의 국내정치에서 반발 가능성이 비교적 작기 때문에 현실성이 높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현상유지 방안은 센카쿠 열도와 독도 문제가 일본의 국유화 및 한국 대통령 방문 이전 중국과 일본이 취해온 입장과 궤를 같이 하는 것으로 ‘미해결의 해결’이라 불려왔다.

사와다 가쯔미 기자도 “영토분쟁은 100년 후에도 안고 갈 문제라 생각한다”며 “미해결의 해결이 가장 이성적 해결법”이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서는 한국의 경우 한미동맹 강화가 전제돼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한용섭 국방대 부총장은 “일본의 해상력이 중국보다 우위에 있기 때문에 센카쿠 열도를 지킬 수 있는 것”이라며 “한국은 한-미동맹을 강화해 해상에서 중국과 일본을 견제하는 게 가장 현실적인 방법”이라고 주장했다.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는 70여 건의 영토분쟁이 진행 중이다. 첨예한 분쟁으로 한·일간 독도(다케시마), 중-일-대만간 센가쿠열도(다오위다오), 러-일간 남쿠릴(북방영토), 중-필리핀, 베트남 간 남중국해, 인도-파키스탄 간 카슈미르 분쟁 등을 꼽을 수 있다.

이 지역들은 국가간 군사적 긴장이 조성될 수 밖에 없는 요충지의 선점 유혹과 군사적 경제적으로 G2 입지 토대로 미국과 경쟁하려는 중국의 의도가 갈등의 요인이다. 특히 중국은 태평양 권역에서 헤게모니 쟁취를 목표로 삼고있다.

재정절벽 속 군축할수 밖에 없는 미국 입장에서는 중국 대항마로 일본을 앞세워 동북아 재균형을 맞추려는 의도가 있다. 일본 입장에서도 자위대 정규군화를 노리는 극우단체와 방위산업체의 압력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글·사진=김남주 기자>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