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7년 대구청년 김학봉②] 식민지의 독한 이빨이 점점 드러나는데

경남 성주에서 태어난 김학봉(1925~2014)은 1973년 경남 김해에 타일업체인 한영요업을 설립하고 1980년대 모자이크 타일의 대형화를 주도했다. 1986년 자신의 호를 딴 우송장학회를 설립해 대구·경북지역 유도 특기생들을 지원했으며 2003년 50억원을 출연해 우송복지재단을 만들었다. 유도 9단인 김 회장은 경북유도회장, 대구시의원, 평화통일정책자문위원 등을 지냈다. 1937년 20대 초반 시절의 김학봉의 사진 등을 통해 당시 대구를 중심으로 한 영남지역 문물을 이동순 시인의 해설로 몇 차례 소개한다. <편집자>
1937년 봄입니다. 바람은 불어 수양버들은 하늘거리고
보트 한 척이 물가에 다소곳 대기 중입니다.
20대의 꿈 많은 대구 청년 김학봉은
춘풍을 폐부 깊숙이 들이마시며
오른손 끝으로는 버들가지를 살짝 쥐고 있네요.
마치 떠나가는 시간을 부여잡듯 말이지요.
이곳이 어디냐 하면 도수원(刀水園)입니다.
옛 대구시청 앞길에서 칠성시장 쪽으로
경부선 꽃시장 지하도를 지나 우측에
인공저수지 하나가 있었으니 이게 도수원입니다.
대구시청 뒤쪽으로 흐르던 물길을 가두어
멋진 유원지를 만들었는데 이곳이 명소가 되었지요.
주인은 일본인 사업가 기오노이에(靑乃家),
원래 이곳은 달성판관 윤성원의 저택인데
경매로 나온 물건을 사들여 만든 유원지입니다.
낮엔 낚시, 달밤엔 뱃놀이를 즐겼다고 합니다.
별장형 요정도 거기 있어서 가야금이나
샤미센 연주소리가 가슴을 후벼팠다고 하더군요.
이상화 시인의 시 ‘대구행진곡’에도
도수원 이야기가 잠시 등장하기도 하지만
지금은 붐비는 꽃시장으로 변했고
완전히 매립되어 옛날의 흔적을 찾지 못합니다.
청년 김학봉은 겨울이 지나고 봄을 맞아
모처럼 이곳 도수원 물가로 나왔습니다.
세상은 점점 식민지의 독한 이빨이 드러나는데
그 불안한 기류를 청년은 아는지 모르는지
그로부터 봄은 여든다섯 번이나 흘러갔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