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라운드업 3/26] 서방 제재 반발‥중국 H&M·나이키 등 불매 확산

중국 신장자치구의 주도 우루무치의 H&M 매장 <사진=연합뉴스>

1. 서방 제재 반발, 중국 H&M·나이키 등 불매 확산
– 중국에서 H&M, 나이키를 비롯한 글로벌 패션 브랜드에 대한 불매 운동이 거세게 일고 있음. 이들 기업이 중국 서부 신장(新疆)위구르 자치구의 강제 노동에 우려를 표하며 신장에서 생산한 면화를 사용하지 않겠다고 선언한 것이 최근 서방의 신장 관련 중국 제재 이후 다시 주목받았기 때문. 중국 누리꾼들은 유니클로, 아디다스, 갭, 필라, 뉴밸런스 등의 신장 관련 성명도 함께 올리며 불매 기업 명단으로 꼽음.
– 스웨덴 업체인 H&M은 지난해 9월 웹사이트에 올린 성명에서 “신장의 강제노동과 소수민족 차별 관련 보도에 깊은 우려를 표한다”면서 “이 지역에서 생산되는 면화를 구매하는 것을 중단했다”고 밝혔음. 성명 후 반년 넘게 경과한 지난 22일(현지시간) 유럽연합(EU)과 미국, 영국, 캐나다 등이 신장의 위구르족 인권 탄압을 이유로 중국 인사들에 대한 제재를 발표하자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는 H&M으로 향했음.
– 중국 공산주의청년단(공청단) 등을 통해 H&M의 성명 내용이 확산하면서 H&M은 한순간에 불매 운동의 타깃이 됐음. 공청단은 지난 24일 “거짓 소문을 퍼뜨리고 신장 면화를 보이콧하면서 중국에서 돈을 벌려하나? 허황된 망상”이라며 H&M을 비난. 25일 중국의 거의 모든 온라인 쇼핑몰에서는 H&M 관련 상품이 일제히 사라져 검색되지 않음. 반감이 높아지자 H&M 모델이었던 중국 스타들은 서둘러 H&M과의 관계를 단절.
– H&M에 이어 나이키도 주요 불매 대상으로 떠올랐음. 나이키는 성명에서 신장의 강제노동과 관련한 보도에 우려를 표하고, “나이키는 이 지역에서 제품을 공급받지 않는다”고 밝힌 적이 있음. 일부 중국 누리꾼은 나이키 신발을 불에 태우는 동영상을 인터넷에 올리며 분노를 표출. 이같은 여론에 나이키 광고 모델인 배우 겸 가수 왕이보(王一博)는 이 회사와의 모든 협력을 중단한다고 밝혔음.
– 중국 정부는 자국민들의 불매 운동을 적극적으로 두둔. 화춘잉(華春瑩)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중국 일반 국민들은 그들의 견해를 드러내 감정을 표현할 권리가 있다”며 “지금 중국 일반 국민은 일부 외국 기업이 한편으로는 중국의 밥을 먹으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중국의 밥그릇을 깨는 행위를 용납하지 않는다”고 주장.

2. ‘기술기업 통제’ 중국, 정보 감독 합작기업 설립 검토
– 알리바바(阿里巴巴), 텐센트(騰迅·텅쉰)를 비롯한 중국의 거대 기술기업들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고 있는 중국 당국이 이번에는 이들 거대 기술기업이 수집한 개인 정보를 관리하는 합작 기업을 설립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음.
– 블룸버그 통신은 25일(현지시간) 소식통을 인용해 거대 기술기업들이 수억 명의 소비자들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관리·감독하기 위해 이들 거대 기술기업이 참여하는 국가 후원 합작 기업을 신설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의 주도로 추진 중인 합작 기업 설립 방안은 인터넷 부문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려는 중국 당국의 시도 가운데 중요한 조치가 될 전망.
– 소식통은 국가가 후원하는 합작 기업에는 중국의 거대 전자상거래 기업들과 금융 결제 기업들을 참여시키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전했음. 거대 기술기업은 합작 기업에 주주 자격으로 참여하되, 합작 기업의 경영진은 중국 당국의 승인을 받은 사람이 맡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음.
– 중국 당국은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인 알리바바와 위챗(微信·중국판 카카오톡)의 운영자인 텐센트를 비롯해 바이트댄스(ByteDanceㆍ字節跳動), 메이퇀뎬핑(美團点評·메이퇀) 등 거대 기술기업들이 수집한 정보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고 있음. 중국 당국의 이들 기술기업에 대한 통제 강화는 공산당이 이들 기업의 힘과 대중에 미치는 영향력을 우려하고 있다는 증거라는 해석도 나옴.

3. 일본 방위상 “북한 탄도미사일, 이전에 발사된 적 없는 신형”
– 북한이 25일 동해로 쏜 발사체에 관해 일본 정부는 신형 단거리 탄도미사일이라는 분석을 내놓았음. 교도통신에 따르면 기시 노부오(岸信夫) 일본 방위상은 26일 열린 기자회견에서 북한의 전날 발사체가 “앞서 발사된 적이 없는 신형 탄도 미사일”이라고 말했음.
– 기시 방위상은 이들 발사체의 비행 거리가 약 450㎞이며 고도는 북한이 기존에 보유한 스커드 미사일의 궤도보다 낮은 100㎞ 미만으로 추정된다고 전날 회견에서 설명. 그는 당시 회견에서는 발사체가 신형 탄도미사일인지 기존에 있던 모델인지에 관해서 정보 수집 중이라며 명확하게 언명하지 않았으나 이날 회견에서 신형이라고 규정.
– 조선중앙통신은 “시험 발사한 2기의 신형전술유도탄은 조선 동해상 600㎞ 수역의 설정된 목표를 정확히 타격했다”며 탄도미사일 발사였음을 26일 공식 확인. 이에 대해 기시 방위상은 한국시간 25일 밤 벤 월리스 영국 국방장관과 전화 회담하고 북한의 미사일 발사 문제나 중국 해경국의 무기 사용 승인 등에 관해 논의.
– 또 오카 마사미(岡眞臣) 방위부(副)대신은 데이비드 헬비 미국 국방차관보 대행(인도·태평양 안전보장 담당)과 전화 회담하고서 북한의 이번 발사가 일본을 포함한 주변 지역과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전을 위협하는 행위라는 견해를 확인했다고 교도통신은 전했음.

4. 미국·영국, 미얀마 군부 운영 기업 제재
– 미국과 영국이 쿠데타에 항의하는 시위를 무력진압하며 많은 사상자를 낸 미얀마 군부를 겨냥해 기업들을 추가 제재한다고 로이터통신이 25일(현지시간) 보도. 미국 재무부는 미얀마 군부 소유의 미얀마경제공사(MEC)와 미얀마경제지주사(MEHL)의 미국 내 자산을 동결하는 제재안을 발표.
– 미국 기업이나 개인도 제재 대상 기업들과 교역을 하거나 자금 거래를 하면 안되며, 영국 외무부도 미얀마경제공사(MEC)를 겨냥해 미국과 공동으로 제재한다고 밝혔음. 앞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행정명령을 통해 뉴욕 연방준비은행에 예치된 미얀마 중앙은행 명의의 10억 달러(약 1조1천350억원)를 동결했으며, 이달 초엔 미 상무부가 미얀마 국방부, 내무부 등 4곳을 수출규제 명단에 올리기도 했음.
– 미얀마 군부는 지주회사와 자회사 등을 통해 맥주, 담배, 통신, 광업, 부동산 등 미얀마 경제의 방대한 부분을 장악. 이에 활동가들은 군사정권으로 흘러드는 자금줄을 끊기 위해 각국 정부들에 대해 석유와 가스 부분으로 제재를 확대할 것을 요구해왔음.
– 미얀마 군부는 지난달 1일 아웅산 수치 국가고문이 이끄는 정부가 부정선거를 자행했다는 이유로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찬탈. 이후 미얀마 곳곳에서 쿠데타에 항의하는 국민들의 시위가 끊이지 않고 있음. 미얀마 군경은 실탄을 발사하는 등 무력으로 쿠데타 반대 시위를 진압해 지금까지 최소 275명이 숨진 것으로 집계.

5. 남중국해 정박한 中선박 200여척에 필리핀·베트남 ‘협공’
– 영유권 분쟁 지역인 남중국해에 떼지어 정박 중인 중국 선박 200여 척을 두고 논란이 확산. 미국과 중국이 이를 놓고 ‘으르렁’ 거린 데 이어 필리핀은 대통령까지 나서고, 베트남 정부도 항의 대열에 동참하면서 국제적 논란으로 비화하는 모양새.
– 25일 외신 등에 따르면 로드리고 두테르테 필리핀 대통령은 이날 ‘어떤 나라라도 그 정도 숫자의 선박에는 우려할 것’이라고 말했음. 두테르테 대통령은 이어 2016년 국제상설재판소(PCA)가 남중국해에 U자 형태로 9개 선(구단선)을 그어 90%가 자국 영해라는 중국의 주장에는 근거가 없다고 판결했다는 점을 주필리핀 중국 대사에게 재확인했다고 로케 대변인은 전했음.
– 이번 논란은 최근 필리핀 해상경비대가 남중국해 필리핀의 배타적경제수역(EEZ) 내 휫선(Whitsun) 암초 부근에 중국 선박 220여 척이 지난 7일 대규모로 정박 중이던 사실을 공개하면서 논란이 시작. 필리핀 측은 이 선박들에 중국의 해상 민병대가 승선 중인 것으로 판단. 정부 부처 연합체인 ‘서필리핀해(남중국해의 필리핀 명칭) 태스크포스'(NTF-WPS)는 성명을 내고 “청명한 날씨에도 암초 부근에 떼지어 있던 중국 선박은 어로 활동을 보이지는 않았다”며 항행 안전에 대한 위험과 해양환경 파괴에 대해 우려를 표명.
– 베트남도 이날 논란에 가세. 레티 투 항 외교부 대변인은 베트남이 ‘다 바 다우’라고 부르는 해당 암초에 중국 선박들이 정박 중인 것은 베트남의 주권을 침해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전했음. 항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베트남은 중국이 이같은 침범을 멈추고 베트남의 주권을 존중하기를 요구한다”고 말했음.

6. 인도네시아 “하루 100만명 백신 맞으면 신수도 건설 가속도”
– 인도네시아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제 궤도에 오르면 보르네오섬 신수도 건설 프로젝트에 속도를 낼 것이라고 밝혔음. 26일 현지 매체들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정부는 2019년 8월 보르네오섬 동칼리만탄에 신수도를 건설하겠다고 발표했으나 정부 예산 대부분을 코로나 사태 대응에 쏟아부으면서 착공을 미룬 상태.
– 수하르소 모노아르파 국가개발기획부(Bappenas) 장관은 “하루 100만명이 백신을 맞으면 신수도 건설을 추진할 수 있다고 본다”고 로이터통신과 전날 인터뷰에서 밝혔음. 수하르소 장관은 신수도법안(IKN) 논의가 곧 국회에서 시작될 것이고, 인프라 건설을 위한 민간 부문 계약이 준비되고 있다고 설명. 이어 “인도네시아 업체와 손을 잡으면 외국인 투자자도 동참할 수 있다”고 덧붙임.
– 인도네시아 정부는 코로나 사태로 착공이 늦어지고 있음에도 2024년 1단계 신수도 이주 목표를 바꾸지 않고 있음. 조코 위도도 대통령은 신수도에 대통령궁, 국회, 대법원, 중앙 부처를 모두 옮기고 자카르타에는 경제수도 역할을 맡긴다는 구상. 인도네시아 정부는 신수도에 국조(國鳥) ‘가루다’를 형상화한 대통령궁을 짓기로 하고, 올해 안에 착공하겠다는 계획.
– 인도네시아 정부는 신수도 건설이 수많은 일자리를 창출하기에 ‘포스트 코로나’ 시대 경제회복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 하지만,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백신 물량이 충분히 공급되려면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전망. 인도네시아 보건 당국은 본래 하루 100만명씩 접종해 연말까지 인구의 70%인 1억8천155만명에게 무료 접종을 완료한다는 목표를 세웠으나, 현재까지 72일 동안 1차 접종자는 638만여명에 불과.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