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하우 행복토크콘서트①] 내 삶의 주인공이 되기 위해 버려야할 것들
[아시아엔=편집국] “당신은 행복하십니까? 당신은 행복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계십니까? 혹시 행복은 나의 일이 아니라고 포기한 채 그냥저냥 살아가는 건 아닌지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확산됨에 따라 사람들이 집 밖으로 나서기를 꺼려하던 지난 1월의 마지막 날, 서울 숭실대 형남공학관이 사람들로 가득 찼다. 20대 대학생을 주축으로 70대 어르신까지 200여명이 ‘행복토크콘서트’(주관 더하우 영성경영연구소)에 참석하기 위해 모인 것이다. 오후 2시부터 약 3시간 가량 이어진 이날 토크콘서트에선 아주 드문 현상이 나타났다. 모든 청중들이 행사의 처음부터 끝까지 자리를 지킨 것이다. 경청할 콘텐츠가 많았다는 반증이 아닐까.
이날 토크쇼에는 △김규덕 (주)더하우 고문, <우리는 이렇게 속고 있었다> 저자 △박선영 더하우 대표, 태광실업 고문 △황헌 방송인, 전 MBC 보도국장 및 파리특파원 △김윤현 전 <포춘코리아> 편집부장, 이코노미조선 부장 등이 패널로 나섰다.
‘행복토크콘서트’는 지난해 11월 한국사회의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곳곳의 문제를 지적하고 대안을 제시한 김규덕 고문의 새 책 <우리는 이렇게 속고 있었다>가 불러일으킨 반향을 타고 기획됐다. 김 고문은 토크쇼가 진행되던 순간 눈을 감은 태광실업 창업자인 故박연차 회장과 박 회장의 장녀인 박선영 더하우 대표의 멘토이기도 하다. 김 고문과 박 대표는 숭실대에서 열린 제1회 행복토크콘서트 이후에도 올 한해 동안 전국 대학가를 순회하며 토크콘서트를 이어갈 예정이라고 한다.
<아시아N>은 ‘행복토크콘서트’를 3회에 걸쳐 게재한다. -편집자
“내 삶의 주인공은 ‘나’일 뿐”
황헌 앵커: ‘행복토크콘서트’를 통해 행복에 대해 나누고 희망의 메시지를 함께 얻었으면 좋겠다. 먼저 패널들의 토크쇼에 대한 소회를 듣겠다.
박선영 더하우 대표 “정신 차린 후 달라진 모습 진솔하게 털어놔”
박선영: (주)더하우의 대표로 이 자리에 나왔다. 내가 살아온 삶 가운데 ‘정신 차리기 전’과 ‘정신 차린 후’의 달라진 모습을 진솔하게 말씀드리려 한다.
김규덕 더하우 고문: 뒤돌아보면 40대 중반까지 자랑할 만한 일이 별로 없었다. 힘든 일이 너무나 많았다. 죽고 싶을 때도 있었지만 죽을 용기도 없이 살았다. 선생님들의 가르침이나 전문가들의 말 속에서 길을 찾으려고 해본 적도 있었지만 찾지 못했다. 물결치는 대로 바람 부는 대로 살았다고 해야 할까? 그러다 천우신조로 길을 찾았고, 오늘날까지 새로운 삶을 살고 있다. 여기 오신 분들은 나와 같은 힘든 고난과 곡절을 겪지 않고 행복하게 살기 바라는 마음으로 이 자리에 왔다.
황헌: 토크쇼의 주제가 “내 삶의 주인공은 ‘나’다”이다. 당연한 말처럼 보이지만, 곰곰이 생각해보면 만만한 주제가 아니다. 어떻게 하면 내가 내 삶의 주인공이 될 수 있을까?
김규덕: 현실을 냉철하게 바라보면 그럴 수밖에 없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내 인생에 대한 조언을 해주시는 부모님과도 언젠가는 헤어져야 한다. 내 삶을 대신 살아줄 사람은 없다는 뜻이다. 그런데 우리는 현실에서 인륜과 천륜, 끊기 힘든 인연 등으로 인해 스스로 내 삶의 주인공이 되지 못하고 흔들리며 살아가는 경우가 많다. 불교에서는 공수래공수거라는 말도 있지만, 태어나고 싶어서 세상에 태어난 사람은 아무도 없다. 하지만 어떤 연유이든 우리는 세상에 태어났고, 그래서 오늘 이 자리에 함께 하게 되었다. 내 삶의 주인공이 ‘나’라는 말에는 자신을 아주 냉철하게 바라보라는 의미가 담겨 있다.
황헌: 내가 내 사람의 주인공이 되기 위한 실천방법은 무얼까?
김규덕: 젊은 시절을 뒤돌아보면 나 자신을 모르고 주변 인연, 상하관계 등으로 얽힌 사람들에게 끌려다녔던 시간이 너무 길었다. 여러분들 중에도 지금 그렇게 살고 계시는 분이 혹시 있을지 모르겠다. 인간의 어리석음을 깨닫는 것이 우선이고, 살아있는 동안 최선을 다해 하루하루를 살다가 ‘허허’ 웃으며 죽을 수 있으면 삶의 주인공으로 살았다고 할 수 있을 거다.
황헌: 내 삶의 주인공이 되기 위해 버려야 할 게 혹시 있을까?
김규덕: 대부분의 사람들은 경험과 아는 것에 붙들려 살아간다. 죽으면 다 놓고 갈 명예, 권력, 재산에 붙들려 사는 사람도 많다. 이렇게 붙들려 있으면 노예나 종처럼 꼼짝하기도 어렵다. 지식과 경험, 명예와 권력, 재산으로부터 자신을 벗어나게 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한 번에 바로 되지 않더라도 많이 듣고 많이 보고, 생각과 사고가 풍요로워지면 붙들림, 즉 집착으로부터 조금씩 자유로워질 수 있다.(계속)
질문이 있습니다
더하우영성경영연구소에서는
직원들의 재산을 사용하고 댓가를 지불하겠다고 약속하고는 해고하고 해고수당도 지불하지 않고
약속한 사용에 대한 댓가와 직원 개인 재산의 손해를 입히고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는 회사오너에게 어떤게 하라고 컨설팅하는지 궁금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