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어 첫걸음] ‘人之将死 其言也善’···사람이 죽을 무렵에는 그 말이 참되다

임종을 앞두고 누구나 착해질까?

[아시아엔=강성현 중국연구가, 교육학박사] “鸟之将死 其鸣也哀,人之将死 其言也善.”(Niǎo zhī jiàng sǐ qí míng yě āi, rén zhī jiàng sǐ qí yán yě shàn.)

“니아오즈 짱쓰~ 치~밍~이에아이, 런즈짱쓰~ 치~이앤~이에산(人과 善은 우리에게 없는 권설음捲舌音이므로, 혀끝을 살짝 말아 올려 발음해야 함.)

불후의 고전 <논어> ‘태백’(泰伯)편에 보인다. 병을 앓았던 증자(曾子)가 자신을 방문한 맹경자(孟敬子, 노나라 대부 중손仲孫씨)에게 한 말이다.

“조지장사 기명야애 인지장사 기언야선.”(새가 장차 죽을 때에는 그 울음소리가 애처롭고, 사람이 장차 죽을 때에는 그 말이 착한 법이다(성백효 <논어집주>, 전통문화연구회, 151~152쪽)

20여년 전 국역연수원(현 한국고전번역원)에 다닐 때 꾸벅꾸벅 졸면서 이렇게 배웠다. 중국에 수년간 머물며 중국 사람들 틈에 섞여 이 구절을 주고 받다보니, 어느덧 우리 발음으로 읽는 것이 어색해져 버렸다.

이 말은 우리에게는 고리타분하고 케케묵은 것처럼 들리지만, 엄연히 격조 있는 실용 중국어회화다.

구어체의 특성을 살려 좀더 부드럽게 다듬어 보자.

“새가 죽으려 할 때는,그 울음소리가 구슬프고, 사람이 죽을 무렵에는 그 말이 참되다.”

이 구절과 관련된 고사를 조금 덧붙여본다.

증자(曾子)가 병이 들자 맹경자(孟敬子, 노나라 대부 중손仲孫씨)가 병문안을 왔다. 이 때 증자가 앞의 글귀를 읊으며 자신의 언행이 추호도 거짓이 없음을 맹경자에게 고한 것이다. 병석에 있던 증자가 한 말로 미루어 보아, 두 사람은 은원(恩怨)과 갈등의 관계가 꽤 지속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여담 몇 마디 하려 한다. 죽음을 앞둔 사람들은 자기 삶을 되돌아보며 회한에 잠긴다. “좀 더 베풀 걸!”, “좀 더 즐겁게 살 걸!”, “좀 더 참을 걸!”, “좀 더 잘해 줄 걸!”

그러나 ‘동숙의 노래’ 가사처럼, 뉘우치면서 울어도 때는 이미 늦은 것이다. 자신의 최후가 언제 닥칠지 아무도 모른다. 이 아름다운 계절에 잠시라도 ‘일 중독’, ‘돈 중독’, ‘출세 중독’에서 벗어나 마음의 여유를 찾아 산으로 들로 떠나보면 어떨까.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