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게임산업 ‘제동’···’시진핑 장기집권’ 포석·한국게임업계 ‘비상’

[아시아엔=편집국] 중국정부가 게임산업에 강력한 제동을 걸면서 한국 게임업계도 직접적인 영향권에 놓였다. 넷마블, 엔씨소프트, 펄어비스 등 판호발급을 기다리는 대형업체뿐 아니라 게임산업 전반에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머니S> 등에 따르면 중국당국은 체제정비와 건강상이라는 명분을 내세웠지만 실제로는 ‘감시’와 ‘기강확립’을 이유로 외자판호(외국 업체 게임허가권)뿐 아니라 내자판호까지 금지하면서 게임산업을 철저히 통제하고 있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등 매체들은 일제히 판호발급 재개 시기가 불투명하다고 보도했다.

중국정부는 게임산업에 대해 별도의 통제를 가하지 않았지만 지난 3월 헌법을 개정하며 태도를 바꿨다. 국무원 조직을 개편하면서 체제 정비를 이유로 국내외 판호발급을 전면 중단했다. 게임산업을 관장하던 광전총국을 4개 부서로 분리하고 공산당 중앙선전부 소속 국가신문출판서로 업무를 이관했다.

최근 중국 교육부 등 8개부처가 공동발표한 ‘청소년 근시예방 종합방안’도 이런 연장선상이다. 이번 정책에 따라 교육목적이 아닌 모바일게임 사용시간을 최대 2시간 이하로 제한하며 밤 9시 이후 접속할 수 없도록 차단한다. 청소년 근시 원인을 게임으로 규정하고 원천 봉쇄에 나선 것이다.

중국의 정책 변화로 판호발급을 기다리던 한국 게임업계도 날벼락을 맞았다. 사드 갈등으로 촉발된 한한령(중국 내 한류금지령)을 넘어 거대한 수출장벽에 가로막힌 셈이다. 북미·유럽지역과 아시아 등 주변국가 투자비중을 높였지만 연간 275억달러(약 31조200억)에 달하는 전세계 최대 게임시장인 중국시장이 막힐 위기에 놓인 것이다.

우선 중국에서 서비스중인 게임들의 수익감소가 우려된다. ‘던전앤파이터’와 ‘크로스파이어’의 경우 중국정부가 우려하는 폭력성으로 인해 직접적인 제재를 받을 수 있다. 네오플과 스마일게이트의 매출 90%가 중국에서 나오기 때문에 제재를 가하면 매출감소로 이어진다.

또 규제에 막힌 중국기업들이 한국시장에 진출하면서 콘텐츠 경쟁력에 대한 고민도 커졌다. 한국시장은 별도 제재가 없고 1인당 매출과 콘텐츠 이용률이 높기 때문에 중국기업들에 인기가 높다. 앱 분석업체 아이지에이웍스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앱 마켓에 출시된 중국게임은 136개로 전년대비 19% 증가했다. X.D. 글로벌과 추앙쿨엔터테인먼트가 별도법인 없이 한국에서 높은 매출을 올렸고 텐센트가 기업 지분투자로 국내 영향력을 확대하는 등 시장잠식이 우려된다.

중국정부가 게임산업을 통제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우선 시진핑 주석의 장기집권 정책과 맞물려 있다. 전국인민대표대회는 지난 3월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진행한 제3차 전체회의 개헌안을 통해 주석 3연임 금지조항을 폐지하고 헌법에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사상’을 추가했다.

시 주석은 집권 2기를 맞아 “전세계를 호령하던 과거의 중국을 되찾는다”는 ‘중국몽’을 주창했다. 그러나 퇴행적 민주주의와 사상통제에 반대하는 여론에 부딪히며 반감을 샀다. 시 주석 초상화에 먹물을 뿌리는가 하면 사상통제를 거부한 베이징대 교수 3명이 사직 성명을 발표하는 등 반발 움직임이 이어졌다.

중국 당국은 이때부터 게임의 폭력성을 견제하기 시작했고 청소년부터 통제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재편했다. 채팅을 통한 부정적 여론의 확산을 막고 폭력적인 콘텐츠를 제한하는 등 통제를 강화할 목적이다.

특히 전세계 게임업계를 쥐락펴락하는 텐센트에 직접 제재를 가했다. 지난달 텐센트의 게임플랫폼 위게임에서 유통한 ‘몬스터헌터: 월드’ PC판을 출시 5일 만에 서비스를 중단시키는가 하면 소셜포커게임 ‘톈톈더저우’의 서버도 폐쇄했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