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오현 스님 입적] 설악 큰스님, 벌써 그립습니다

설악산 신흥사 조실 무산 스님이 26일 오후 5시 11분 입적했다. 세수 87세, 법랍 60세. 스님의 법호는 설악(雪嶽), 법명은 무산(霧山), 속명은 조오현(曺五鉉)으로 생전에 신흥사 선승들의 수행을 지도하는 최고의 정신적 스승으로서의 역할을 해왔다.

스님은 1932년 경남 밀양에서 태어나 1939년 성준 스님을 은사로 출가, 1959년 직지사에서 성준 스님을 계사로 사미계, 1968년 범어사에서 석암 스님을 계사로 구족계를 수지했다. 계림사·해운사·봉정사·신흥사 주지와 제8·11대 중앙종회 의원을 역임했고 2016년 조계종 최고 품계인 ‘대종사’ 법계를 받았다. 또한 종단의 원로의원과 신흥사 조실, 백담사 조실, 조계종립 기본선원 조실로 후학을 지도해왔다. 한국불교를 대표하는 시조시인으로 꼽히며 만해마을을 짓고, 만해상을 제정했다.

<아시아엔>은 아시아기자협회와 특별한 인연을 맺어온 스님의 생애를 기리는 글을 몇 차례 이어 보도할 예정이다. <편집자>

[아시아엔=배우식 시인] 이 무슨 청천벽력 같은 소식인가? 엔진 톱에 밑동이 잘려나간 소나무처럼 무참히 땅바닥으로 나는 고꾸라진다. 넋 나간 사람처럼 멍하니 허공만 바라보다가 문득 일어나 죄인처럼 무릎을 꿇는다. 끓어오르는 슬픔을 참느라 입술을 깨물고 깨물지만 새어 나오는 울음을 어쩌지 못하고 끝내는 눈물을 쏟는다.

어디선가 큰스님의 음성이 들려온다. “마지막으로 보고 싶으니 만해마을로 올라오라”는 큰스님의 전화 속 목소리다. 열반하시기 6일 전의 그날을 잠시 회상한다.

‘마지막’이란 말씀이 내내 마음에 걸렸지만, 급히 찾아뵌 큰스님은 걱정과는 달리 환하게 앉아 계셨다. “그리웠다”는 말씀으로 따뜻하게 맞이해주시는 큰스님께서는 부족하고 또 부족한 나의 학위논문을 햇빛 같은 말씀으로 과분하게 칭찬해주셨다. 진심으로 고마웠다.

한참을 생각하시던 큰스님께서 “이 세상에서 제일로 기쁘고 즐겁고 좋은 날은 죽는 날이다”라고 말씀하셨다. 생사를 초월하여 ‘하나’인 세계를 사시는 큰스님이시라 별다르게 생각하지 않았지만 이 느닷없는 말씀을 듣고 나는 왠지 모르게 가슴이 떨려오고 눈시울이 뜨거워졌다. 초조한 마음에 떼쓰며 매달리는 아이처럼 더 오래 사셔야 한다고 울음을 터트리며 말씀을 올렸다. 이런 나의 간절함이 통했는지 큰스님께서는 가만히 웃으시면서 10년은 더 사시겠다고 약속하셨다.

헤르만 헤세의 소설 <싯다르타>에 ‘팔만대장경’의 뜻이 다 들어 있다고 말씀하실 때는 스님의 상호(相好)에서 분홍빛이 반짝이고 있었다. 마치 연꽃 같은···.

큰스님은 무엇에도 집착하지 않는 무소유의 삶과 공의 실천으로 대자유의 삶을 살 것을 당부하듯 말씀하고는 한참을 침묵하셨다. 그때 큰스님의 몸에서 꽃대 하나가 올라오고 연꽃이 피어나는 것을 나는 분명히 보았다. 큰스님 옆에 있던 바람도 고요했다.

얼마의 시간이 흘렀을까. 큰스님께서는 미당 선생님의 ‘연꽃 만나고 가는 바람 같이’를 말씀하셨다. 이별의 섭섭함을 말씀하시고는 큰스님 표정에서 영원한 작별을 예감하지 못한 것이 한으로 남는다.

돌아갈 시간이 되어 큰스님의 맑고 깨끗한 손을 잡는 그 순간 알 수 없는 그리움이 돋아나 목이 콱 막혀왔다. 큰스님께서 내 앞에 계셔도 그리웠다. 그리움이 폭발하여 ‘큰스님을 한번 안아보고 싶다’고 생각했고, 나의 이런 생각을 큰스님께 말씀 올렸다. 이에 큰스님은 흔쾌히 제 품에 몸을 맡기시고는 조용히 안기셨다. 그때 연꽃 향기가 잔잔한 종소리처럼 내 몸속으로 흘러들어오고 있었다.

맨발로 문밖까지 따라 나오셔서 손을 흔들며 배웅해주시는 큰스님의 따뜻한 그 마음을 보물처럼 소중하게 품고 집으로 돌아왔다.

그런데 이 무슨 날벼락 같은 비보인가. 오래 사신다고 약속하신 큰스님의 말씀은 어찌하고, 그 먼길을 혼자서 그렇게 황망히 떠나시다니. 임제스님의 법제자 관계스님처럼 마당에 가서 잠시 서계시다가 한 발짝, 두 발짝, 셋, 넷, 다섯, 여섯, 일곱 발짝까지 걸음을 떼어놓으시더니 그냥 그 자리에서 걸어가시던 그 모양 그대로 열반하셨을까.

그 마지막 날 큰스님을 홀로 두고 그냥 돌아온 나는 무척이나 애통하고 목이 막혀 숨조차 쉴 수가 없었다. 나는 큰 죄인이다. 허공을 걷는 것 같은 이 먹먹한 울음의 발걸음도 쉽게 끝나지 않을 것만 같다.

내게 베풀어주신 은혜와 사랑이 어찌 그리도 큰 지. 큰스님을 생각만 해도 오월의 나뭇잎처럼 그리움이 푸르러진다. 큰스님의 빈 자리가 왜 그렇게도 큰 지. 이제는 유언이 되어버린 그날의 말씀들을 큰스님 뵈오듯 소중하게 만나고 지켜가련다.

혼탁한 세상에 살면서도 거기 물들지 않고 연꽃의 맑고 고운 삶을 사신 설악 큰스님, 눈물나게 그립다. 큰스님께서 이루어놓으신 위대한 문학적 성취는 갈고 닦아 더욱 더 빛나도록 하겠다.

큰스님, 부디 극락왕생하소서.

2 comments

  1. 설악 큰스님께서 열반하시기 가장 보고 싶은 사람 중에서 첫 번째로 배우식 시인을 꼽았답니다 그래서 열반 6일 전 만해마을에서 오랜 시간을 담소할만큼 특별한 관계였답니다 배우식 시인은 설악 조오현 선시조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재원입니다 설악 큰스님을 그리워하는 글을 읽으며 저도 펑펑 울었습니다

  2. 오현큰스님과 배우식시인께서는 부자같은관계셨네요.큰스님 극락왕생하소서~~~

Leave a Reply to 목련화 Cancel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