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고불변의 자연법칙···’겸손’으로 흥하고 ‘오만’으로 망한다

[아시아엔=김덕권 원불교문인협회 명예회장] 필자는 오래 전 스승님으로부터 여덟 가지 마음가짐을 다짐받았다. 제1조가 “겸양 이상의 미덕은 없다”이다. 그로부터 부지런히 이 ‘스승님 8훈(訓)’을 실천에 옮기느라고 무진 애를 썼다. 하지만 아직 완전히 내것으로 만들지 못한 것 같아 여간 마음이 불편한 게 아니다.

주역(周易)에서 ‘겸(謙)’의 뜻을 나타내는 괘명(掛名)은 땅(地) 아래 산(山)이 있는 상(象)이다. 풀이하면, “산처럼 높은 학덕이나 재능이 있더라도 땅처럼 낮다고 생각하고, 산처럼 높은 공을 세웠다 해도 땅처럼 낮추는 것”이 ‘겸’이다.

내가 모자라서 낮추면 그것은 비굴이 되지만 가득 찼는데도 낮추면 겸손이 되는 것이다. 겸손은 자연의 이치인 것이다.

“천도(天道)는 가득한 것을 이지러지게 하고, 지도(地道)는 가득 찬 것을 변하게 하며, 귀도(鬼道)는 가득 찬 것을 해롭게 한다”고 했다. 하늘의 달도 가득 차면 기울고, 땅의 높은 언덕도 차츰 낮아지며, 귀신도 좋은 일에는 마(魔)를 끼게 한다. 이처럼 하늘이나 땅, 귀신은 가득 찬 것을 싫어하여 이지러지게 하거나 변화시키거나 해롭게 하는 것이다.

사람의 정(情)도 가득 찬 것을 싫어하는 천도(天道), 지도(地道), 귀도(鬼道)를 본받아 가득 찬 체하는 자만을 싫어한다.

‘겸의 덕’을 본받아 자기가 가지고 있는 돈, 권력, 재능, 학식 등을 여러 사람에게 나누어 주어 사회를 이롭게 해야 한다(益謙). 또 아래로 흘려보내어 어려운 사람, 가지지 못한 사람에게 베풀어야 하는 것이다(流謙). 그래서 ‘겸의 덕’을 한 마디로 ‘가진 자의 베풂’이라고 한다.

우리가 겸손하면 이익을 받는다(謙受益). 그러니까 겸손은 자기 자신을 겸허(謙虛)히 하는 것, 즉 낮추고 비우는 것이다. 자신을 낮추고 비우면 모든 것을 다 받아들일 수 있어 결국 이익을 얻게 된다. 그래서 ‘겸수익(謙受益)’이라 하는 것이다.

반면에 자기 자신이 가득 찼다고 자만하면 자기에게 이익이 되는 것도 받아들일 수 없어 결국 손해를 보게 된다. ‘만초손(慢招損)’이라 하는 것이다.

노자(老子) <도덕경(道德經)> 61장에 이런 말이 나온다. “큰 나라가 자신을 낮추어 작은 나라를 대하면 작은 나라를 취하게 되고, 작은 나라가 자신을 낮추어 큰 나라를 대하면 큰 나라로부터 많은 것을 얻을 수 있다. 그러므로 어떤 경우든 낮춤으로써 취하게 된다. 그런데 큰 나라는 작은 나라를 겸병(兼倂)하여 이끌려고 하고, 작은 나라는 큰 나라에 들어가서 사람들을 섬기려 할 뿐인데, 양쪽 나라가 모두 원하는 것을 얻으려면 큰 나라가 마땅히 자신을 낮추어야 한다.”

<사자소학(四字小學)>에 “인지덕행(人之德行) 겸양위상(謙讓爲上)”이라는 말이 나온다. “사람의 덕행은 겸손과 사양이 제일”이라는 뜻이다. 여기서 겸손이란 자신의 능력이나 공을 과시하지 않는 태도이지만, 단순히 겉으로 드러나는 태도만을 말하지는 않는다. 자신의 능력을 과시하지 않으나, 자신에 대한 믿음과 자긍심까지 없는 것은 겸손이 아니다.

마음이 충만한 사람은 겸손하게 물러나서 자신을 과장하지 않고도 만족할 수 있다. 그러니까 자신에 대한 내적 충만감을 먼저 가져야 진정한 겸손의 태도를 가질 수 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이 검찰에 의해 기소(起訴)됐다는 뉴스가 쏟아져 나왔다. MB에게는 겸양지덕은 온데 간데 없는 것 같다. 박근혜 전 대통령도 헌정사상 최초로 현역 대통령이 탄핵을 받고 임기를 열한 달 남겨둔 채 청와대에서 쫓겨나고 말았다. 박근혜 역시 겸손했더라면 그런 오욕의 역사를 쓰지는 않았을 것이다. 이명박·박근혜 두 전직 대통령에게는 여러 가지 정치적 이유가 있었겠지만 보다 근원적인 원인은 그들 자신이 하나같이 겸손하지 못했기 때문에 그렇게 됐다고 나는 본다.

동서고금의 역사 속 수 많은 영웅호걸이나 경세가(經世家)들이 큰 공과 업적을 세우고도 비명횡사한 것은 공적을 쌓는데는 성공했으나 자기 자신을 다스리는 데는 실패했기 때문이다. 국가나 개인이나 한결같이 겸손으로 일어났다가 자만으로 쇠하게 되는 법이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