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라운드업 2/13] ‘인종청소’ 논란 미얀마, 불도저로 로힝야 흔적 지웠다·인도, 이웃 몰디브 비상사태 개입 놓고 ‘갑론을박’

[아시아엔 편집국] 1. ‘신유통’ 본격화하는 알리바바…가구업체에 9천300억원 투자
–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업체인 알리바바가 가구업체 지분을 인수하며 오프라인 유통시장 진출을 본격화. 12일(현지시간)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알리바바는 중국 가구 체인 ‘베이징 이지홈 퍼니싱'(쥐란즈자·居然之家) 그룹의 지분 15%를 54억5천 위안(9천343억원)에 인수할 계획이라고 밝힘. 쥐란즈자는 중국 전역에 223개 매장을 보유한 중국 2대 가구업체.
– 알리바바는 이번 지분 인수로 쥐란즈자의 경영·물류 시스템 전반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할 것이라고 설명. 쥐란즈자도 별도의 성명에서 알리바바와 타이캉(泰康), 윈펑(云鋒) 캐피털 등에서 총 130억 위안(2조2천260억원)의 투자를 받았다고 전함.
– 알리바바는 쥐란즈자 투자를 계기로 온라인 쇼핑과 오프라인 점포, 스마트 물류를 결합한 이른바 ‘신유통'(New retail) 사업에 박차. 회사는 지난해 1월 백화점 체인 인타임리테일(銀泰商業)그룹을 사들인 후 홍콩 롄화 슈퍼마켓(聯華超市)과 중국의 월마트로 불리는 선아트리테일의 지분을 연이어 인수.

2. 아베 ‘자위대 추가 명기’ 개헌안에 日국민 시큰둥…27.5%만 찬성
– 평화헌법 조항인 헌법 9조의 기존 조항을 놔둔 채 자위대 관련 규정을 추가하자는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의 제안이 일본 국민들 사이에서 큰 지지를 얻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남.
– 산케이신문이 후지TV 계열 후지뉴스네트워크(FNN)와 함께 10~11일 18세 이상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 결과, 27.5%만이 일본 헌법 9조의 2항(전력<戰力> 보유 불가)을 유지하면서 자위대의 근거를 다룬 항을 추가해야 한다는 아베 총리 개헌 제안에 동의.
– 아베 총리와 여당 자민당은 헌법 9조의 1항(전쟁 포기)과 2항을 수정하지 않은 채 3항을 신설해 자위대의 근거를 명확히 하는 쪽으로 개헌을 추진. 일단 평화헌법의 기존 조항을 건드리지 않고 헌법을 고쳐 개헌의 물꼬를 튼 뒤, 9조의 1항과 2항을 수정하는 ‘2단계 개헌’을 염두에 두고 있음.
– 아베 총리의 개헌 제안이 힘을 얻지는 못하고 있는 가운데, 자위대의 근거를 명기하면서 동시에 9조의 2항을 삭제하자는 더 급진적인 의견을 택한 응답자는 28.8%나 됐음. 2조를 유지하든 삭제하든 어떤 식으로든 9조를 수정하자는 답변은 56.3%나 된 것이다. 반면 “9조를 바꿀 필요가 없다”는 의견은 40.6%.

3. ‘인종청소’ 논란 미얀마, 불도저로 로힝야족 흔적도 지웠다
– 반군 토벌을 빌미로 로힝야족 민간인을 국경 밖으로 몰아내는 ‘인종청소’를 자행했다는 비판을 받아온 미얀마가 로힝야족의 흔적까지 말끔하게 지웠다고 AFP통신이 13일 보도. 최근 미얀마 주재 외교단의 분쟁지역 방문에 동참했던 크리스티안 슈밋트 유럽연합 대사는 애초 로힝야족이 거주하던 마을을 드론으로 촬영한 사진을 자신의 트위터 계정에 공개.
– 사진 속 로힝야족 마을은 이제 사람이 살던 곳으로 볼 수 없을 정도. 미얀마 당국이 중장비를 이용해 불에 탄 건물의 잔해를 완전히 철거하고 마을 인근에 있던 수목도 깨끗하게 밀어버린 탓. 농토로 둘러싸인 마을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은 불에 탄 뒤 남은 희뿌연 재뿐.
– 로힝야족 인권단체인 아라칸 프로젝트의 크리스 레와 대표는 “로힝야족들이 파괴된 마을을 보고 충격을 받았다”며 “앞으로 우기에 비가 내리면 로힝야족의 삶의 자취는 완전히 사라질 것”이라고 말함. 그는 이어 “로힝야족은 그들(미얀마 군인들)이 자신들이 살았던 흔적을 쓸어버리려 한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임.
– 이에 대해 난민 송환 책임자인 민 미얏 아예 사회복지부 장관은 “(로힝야족) 마을에 대한 새로운 계획을 실행하려 한다. 그들이 돌아오면 원래 거주지나 원 거주지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살 수 있다”고 해명.

4. 인도 언론·학계, 이웃 몰디브 비상사태 개입 놓고 ‘갑론을박’
– 몰디브에서 압둘라 야민 대통령이 지난 5일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현직 대법원장과 야권을 지지하는 전직 대통령을 체포한 지 1주일이 지난 가운데 인도 언론과 학계에서는 인도의 몰디브 사태 개입 여부를 놓고 찬반 논란이 치열.
– 일각에서는 몰디브 야권에서 이미 인도에 개입을 요청한 상황에서 역내 중국의 영향력을 차단하고 인도의 지도적 역할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면서 개입을 지지. 반면에 다른 쪽에서는 개입의 결과를 예측할 수 없으며 자칫 몰디브 정정불안 책임을 인도가 떠안을 수 있다고 우려.
– 12일 인도 언론에 따르면 미국 카네기재단이 설립한 인도 싱크탱크 카네기 인디아의 C.라자 모한 소장은 언론 기고문에서 “인도가 몰디브와 관련해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은 야민 대통령의 편을 택한다는 뜻”이라고 주장.
모한 소장은 “인도의 개입은 중국의 비난을 받겠지만 다른 국제사회의 지지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면서 개입을 지지.
– 반면, 인도 일간지 타임스오브인디아의 외교담당 에디터 인드라니 바그치는 미국의 이라크 및 시리아 군사 개입과 과거 스리랑카 내전에 인도가 관여한 것 등을 언급하며 “‘함포 외교’는 해당국의 내부 소용돌이에 휘말리게 되며 해당국의 문제가 바로 우리의 문제가 된다”면서 인도 정부의 개입에 반대.

5. IS 수괴 꼬리 잡힐까…이라크 당국 “시리아서 치료하며 은신”
– 수니파 무장조직 ‘이슬람국가'(IS)의 우두머리가 시리아북동부에 은신 중이라는 정보가 이라크 정보당국에 포착. 이라크 정보·대테러기구 수장 아부 알리 알바스리는 “IS 내부 정보원으로부터 아부 바크르 알바그다디가 시리아에 은신하고 있다는 반박할 수 없는 정보와 기록을 입수했다”고 말했다고 관영 일간지 아스-사바가 보도. 바스리는 바그다디의 은신처로 시리아 북동부 자지라 지역을 지목.
– IS는 국제동맹군과 러시아·시리아군의 공세에 도시 거점을 전부 잃고 시리아 동부 사막지대, 유프라테스 중류계곡, 알레포 일부 등 인구밈도가 지역으로 달아나 일개 테러조직과 마찬가지로 자폭공격을 벌이며 명맥을 유지. 국제동맹군이 IS 최대 거점인 이라크 모술이나, 수도격 도시 시리아 락까를 장악했을 때에도 바그다디의 소재가 파악되지 않음.
– 바스리가 밝힌 정보에 따르면 바그다디는 이라크에서 공습 중에 당한 부상과 당뇨병으로 치료를 받고 있으며, 다리와 신체 여러 부위에 골절이 생겨 혼자서는 걷지 못하는 상태. 이날 CNN는 복수의 미국 관리를 인용해 바그다디가 락까에서 공습으로 부상한 후 지휘권을 넘겼다고 보도.
– 2014년 6월 IS의 칼리프로 지명된 바그다디는 그 다음달 모술에 있는 알누리 대모스크에서 공개 설교를 한 것 외에는 외부에 모습을 드러낸 적이 없음. 작년 7월 러시아가 IS 격퇴 성과를 과시하고자 바그다디를 제거했다고 주장했으나 미국은 생존에 무게. IS가 상징적 수도에서 쫓겨난 지 열흘 남짓 후 바그다디의 육성이라며 공개한 46분짜리 음성 파일이 그의 생존을 입증하는 마지막 정황.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