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창수 시인의 뜨락] ‘성년(成年)의 날’이 ‘성년(聖年)의 날’이었으면

[아시아엔=김창수 시인, 시집 <꽃은 어디에서나 피고>] 성년(成年)의 날이 성년(聖年)의 날이었으면! 성인(成人)과 성인(聖人)은 그 뜻과 실존이 확연히 다르다. 成人은 일정한 나이가 되면 자동적으로 사회적 책임과 권리를 가진 존재로 편입된 사람을 말한다.

聖人은 생물학적 나이와 상관이 없이 자아(自我)를 해소하고 대아(大我)적 삶을 사는 사람을 가리킨다.

전통적으로 동북아시아에서는 사람들의 성장과정을 ‘각 개체의 자기완성’이라는 측면에서 바라보았다. <대학>에서 말한 것처럼, 인간이 자라면서 갖추어야할 덕목을 성장의 각 단계에서 취득할 것을 주문하였다. “격물치지 성의정심 수신제가 치국평천하”(格物致知 誠意正心 修身齊家 治國平天下) 과정으로 본다. 그래서 “성인식(成人式)을 성인(聖人)이 되라”는 주문과 다짐의 행사로 보았다.

세계 모든 겨레나 나라 및 부족들도 성인식(成人式)의 전통이 있었다. 그 때의 성인식도 성인(成人)이 성인(聖人)이 되라는 의식이었다.

그런데 오늘날 成人은 생물학적으로 정해진 나이가 되기만 하면 저절로 된다. 그날을 ‘성년의 날’이라 하고, 우리나라는 매년 5월 셋째 월요일을 성년의 날로 기념하고 있다. 아이들에게 어른이 되는 법을 가르칠 수 있는 성년식(聖年式)이 절실하게 요청된다.

우리는 도처에서 ‘어미의 사랑’을 배우고 ‘아비의 자유’를 꿈꾸고 ‘선생의 지혜’를 향해 나아가는 청년을 보고 싶다. 수많은 방황과 모색을 뚫고 종국에는 ‘지혜자’가 되고 입전수수하는 표본을 우리가 예수와 석가에게서 보듯, 성년(成年)이 어른과 동일한 의미가 되는 시대를 목격하고 싶다.

 

사랑하는 아이들아!

김창수

사랑하는 아이들아!

자식에게

어미의 다른 이름이

‘사랑’이라면

아비의 또 다른 이름은

‘자유’란다.

또한 의식이 혼란스럽고 광기로 불 탈 때

길잡이가 되어주는

선생의 다른 이름은

‘지혜’란다.

  1. 사랑하는 아이들아!

가난한 마음으로

너를 묻거라

온유한 마음으로

함께 갈 벗을 찾거라

네 안과 밖을 갈지자로 헤매며

묻고 답하고, 답하고 묻다가

마침내는 영원한 지혜자 이거라

  1. 사랑하는 아이들아!

부모와 사회적 업식(業識)에서 자유롭거든

너 자신의 자아와 싸우거라

몸과 마음과 혼을 넘고 초월을 향한 여정에서

대리 자아를 만들어 스스로를 속이지 말고

거짓 초월을 설정하여 그곳이 정상이라고 우기지 말거라

그러다가 라도 행여 궁극에 대한 답을 찾았거든

홀로 있지 말고 입전수수(立廛垂手)하거라 (발췌)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