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창수 시인의 뜨락] 가정의 달 다시 읽는 최영철의 ‘인연’

최영철 시인

[아시아엔=김창수 시인] 최영철 시인은 작년 환갑이 지났다. 경남 창령 출신인 그는 1986년 <한국일보> 신춘문예 등단해 시집 <홀로 가는 맹인 악사> 등을 냈고 백 석문학상을 수상했다

농경사회에서는 주로 3대 이상이 일가(一家)를 이루며 살았다. 그들은 한 울타리 안에서, 한 밥상에서 의식주를 같이 해결하며 살았고 생활양식이 비슷하였다. 그러나 산업사회가 되면서 삶터와 일터가 분리되고 식구들이 일자리를 찾아 뿔뿔이 흩어지게 되어, 이제 같은 밥상에 둘러 앉아 밥을 먹는 일은 특별한 날이 아니면 드물게 되었다.

그러나 아이들이 어렸을 때나 특별한 날, 설이나 추석 그리고 가족 기념일은 여전히 가족 공동체의 끈을 이어가는 면에서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식구들은 밥상 위에 놓인 반찬 그릇에 엉킨 젓가락들로 서로의 살을 부빈다. 음식을 함께 나누며 말을 섞고 마음을 살피고 서로의 형편도 가늠하면서 서로 닮아가고, 눈짓을 나누고 웃음과 울음, 걱정도 나누며 밥 모심을 함께 배워간다.

아래의 시 최영철의 ‘인연’은 단란한 가족의 특별한 날 기념식인 것 같다. 형편이 넉넉하지 않아 탕수육 같은 요리 하나도 더 시키지 못했지만 짬뽕을 먹으며 신랑 각시가 서로 눈을 맞추고 해물 발 사이로 언뜻 비치는 해물 건더기도 서로의 입에 넣어준다. 함께 데리고 온 자식에게도 면 가닥을 넣어주는데, 그 아이의 면 훔치는 모습이 꼭 지 어미 애비를 닮았다. 이렇게 가족은 밥을 같이 먹으면서 서로가 닮아 간다. 김홍도가 그린 한 폭의 풍경화 같은 장면이다.

따지고 보면 사람은 누구나 이런 사소하지만 따뜻한 사랑을 나누기를 원하고 있다. 그 시점과 장소 그리고 여건을 잘 포착하지 못해서 그렇지 누군들 가족의 단란한 생활을 바라지 않겠는가? 그런데 이런 삶을 방해하는 것이 꼭 외부적인 것이라고만 말하기는 어렵다. 비록 먹고살기가 팍팍한 세계라고 해도, 사람끼리의 관계를 소중하게 여기는 자세를 갖춘다면 작지만 서로의 체온을 느낄 수 있는 기회를 조금은 만들 수도 있지 않을까?

인 연

오늘은 특별한 날이라고

자장면 집 한 켠에서 짬뽕을 먹는 남녀

해물 건더기가 나오자 서로 건져주며

웃는다 옆에서 앵앵거리는 아이의 입에도

한 젓가락 넣어주었다

면을 훔쳐 올리는 솜씨가 닮았다.

?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