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올림픽 계기로 경원선·동해선 연장될까?

[아시아엔=김국헌 전 국방부 정책기획관] 2000년 9월 남북 국방장관회담에 이어서 10월부터 남북 군사실무회담이 개시되었다. 회담은 남과 북의 합의하에 이루어졌다. 우리는 남북의 경제와 군사가 새의 양 날개와 같이 병행해야 된다는 명분을 내걸었다. 따라서 남북 군사적 신뢰구축이라는 개념을 강조했지만 북한은 신뢰구축이라는 말을 쓰지 않고 긴장완화 용어만 고집하였다. 군사실무회담은 2003년 9월까지 총 23회에 거쳐 이루어져 이를 기초로 경의선-동해선 철도 도로 공사가 이루어졌다.

북한은 경의선-동해선이라고 하지 않고 꼭 동해선-경의선으로 불렀다. 김정일이 그렇게 부른다는 것이었다. 그보다도 김정일이 우선 급한 것은 금강산 관광에서 들어오는 현금이었다. 6·25가 터지기 전 평양에서 남하한 나의 처가는 금강산관광을 가지 않았다. 김일성 일가 도와주는 일을 왜 하느냐는 것이다. 그만큼 반공정신이 철저하였다.

북한은 개성공단을 건설하기 위해 4군단 부대 일부를 배치 조정했다. 유사시 서울로 진공하는 주 공격로에 배치된 부대였기 때문이다. 북한군은 이를 두고 생색을 냈다. 역으로 6·25에 참전해서 북한 전차에 혼이 난 우리 노병들은 우리가 북한 전차 접근로를 깔아주는 것이 아니냐고 우려했다. 조성태 전 국방부 장관은 우리의 대전차 전력-화력, 장벽은 충분히 대비되어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북한이 침공한다면 북한 전차는 걸프전에서 보듯 산산조각 날아갈 것이다.

남북 간에는 서울-원산을 잇는 경원선을 연결하는 것이 남아 있다. 포항-삼척을 잇는 동해선도 연장되어야 한다. 평창올림픽을 계기로 춘천-속초 고속도로가 건설되고 원주-강릉 철도가 이어지고 있다. 일제 강점기에 동해선의 지반공사가 되어 있었다. 남북관계가 진전되면 이 선로 복구가 시급하다. 이 선로는 원산에서 러시아로 연결된다. 북한의 철도와 도로 인프라는 거의 쓸모가 없다. 토목공사는 남아 있다. 시설공사는 전적으로 우리가 다시 해야 한다. 남북군사회담에서 얻어진 경험과 자료는 앞으로 더욱 귀중하게 사용돼야 한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