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가탄신일①] 불교 4대명절···성도일·출가일·열반일 그리고

[아시아엔=박명윤 <아시아엔> ‘보건영양’ 논설위원] 금년은 불기(佛紀) 2561년이며, 5월 3일이 음력 사월 초파일(初八日) ‘부처님 오신 날’이다.

불기(佛滅紀元)란 불교에서 석가모니의 입멸(入滅) 연대를 기준으로 쓰는 기원(紀元)이다. 입멸 연대에 대하여 여러 설이 있었으나 1956년 11월 태국, 스리랑카, 미얀마 등 불교국가들이 채택한 연대에 따라 석가모니 입멸 2500주년을 맞아 인도 뉴델리에서 개최된 세계불교대회에서 입멸 연대를 기원전 544년으로 채택하였다.

‘부처님오신날’이라는 용어는 1960년대 대한불교 조계종이 불교적 의미를 복원하고 한자어로 되어 있는 불탄일(佛誕日) 또는 석탄일(釋誕日)을 한글화 추세에 적합하게 사용하자는 취지로 만들었다. 지난 2월 불교 29종단(宗團)으로 구성된 한국불교종단협의회는 정부(인사혁신처)에 ‘관공서의 휴일에 관한 규정’에 석가탄신일로 정해진 명칭을 ‘부처님오신날’로 바꿔달라고 요청했다. 불교계의 공식적인 명칭개정 요청은 처음이다.

필자의 모친은 독실한 불자(Buddhist)여서 지난 1978년 가을에 별세하기 전까지 초파일이 되면 어머니는 온 가족과 함께 서울 견지동 소재 한국불교를 대표하는 조계사(曹溪寺)에 가서 석가탄신일(釋迦誕辰日)기념 법회(法會), 관불의식 참여 등으로 뜻있는 시간을 보내면서 점심 공양(供養)도 했다. 이에 초파일이 되면 어머님이 더욱 그리워진다.

지난 4월 12일 대구 경북고 동창생 70여명과 강원도 강릉으로 ‘봄나들이’를 갔을 때, 오죽헌(烏竹軒)에 전시되어 있는 신사임당(申師任堂, 1504-1551)이 서울에서 생활할 당시 고향에 홀로 계시는 친정어머니를 그리면서 애틋한 마음으로 지은 시(詩) ‘어머니를 그리며’를 읽었다. 신사임당은 19세에 이원수(李元秀)와 결혼했으며, 결혼 후 몇 달 뒤 아버지가 세상을 떠나 3년 상(喪)을 마치고 서울로 올라갔다.

‘어머니를 그리며’

산 첩첩 내 고향 여기서 천리/ 꿈속에도 오로지 고향 생각 뿐/ 한송정 언덕 위에 외로이 뜬 달/ 경포대 앞에는 한 줄기 바람/ 갈매기는 모래톱에 헤어졌다 모이고/ 고깃배는 바다 위를 오고 가겠지/ 언제쯤 강릉 길 다시 밟아가/ 어머니 곁에 앉아 바느질 할꼬.

석가(釋迦牟尼, Sakyamuni, Buddha)는 BC 624년 4월 8일(음력) 해뜰 무렵 북인도 카필라 왕국(현재 네팔 지방)의 슈도다나(Suddhodana)왕과 마야(Maya)부인 사이에서 태어났다. 석가는 태어나자마자 일곱 발자국을 걸어가 오른손은 하늘을 가리키고 왼손은 땅을 가리키며 ‘천상천하유아독존’(天上天下唯我獨尊)이라 하였다고 한다.

불교의 종주국인 인도 등에서는 예로부터 음력 4월 8일을 석가의 탄일로 기념하여 왔다. 우리나라에서도 음력 4월 초파일을 석가탄신일로 기념하며 1975년 1월 27일 대통령령으로 공휴일로 지정하였다.

한편 국제연합(UN)은 1998년 스리랑카에서 개최된 세계불교대회의 안건을 받아들여 양력 5월 중 보름달이 뜨는 날을 석가탄신일로 정하여 기념행사를 개최하고 있다.

불교(佛敎)에는 4대 명절이 있다. 즉 불교의 개조(開祖)인 석가모니(釋迦牟尼)가 탄생한 것을 기리는 석가탄신일(釋迦誕辰日), 석가모니가 출가한 것을 기리는 출가일(出家日), 석가모니가 깨달음을 얻어 도를 이룬 것을 기리는 성도일(成道日), 그리고 석가모니가 80세에 이 세상을 떠난 날을 기념하는 열반일(涅槃日) 등이다.

‘부처님 오신 날’의 주요 행사는 관불 의식, 연등회, 탑돌이 등이 있다. ‘관불의식’은 향을 달인 물 향탕수(香湯水)로 아기 부처상을 목욕시키는 의식이다. 이 의식은 석가모니가 태어났을 때 아홉 마리의 용이 더운물과 찬물을 뿜어 목욕시켰다는 전설에서 유래했다. 불자(佛子)들은 아기 부처상의 정수리부터 물을 부으면서 몸과 마음이 깨끗해지기를 빈다.

‘연등회’(燃燈會)는 석가모니 앞에 등불을 켜고 세상을 밝히는 의식으로 불자들은 각자의 소원을 담아 정성껏 연등을 올린다. 세상의 어두운 곳을 밝히고자 하는 이 행사는 석가탄신일뿐 아니라 정월 보름 등 다른 중요한 날에도 행해진다. ‘탑(塔)돌이’는 석가모니의 유골이 담긴 탑 주위를 돌면서 석가모니의 가르침을 실천하겠다고 다짐하는 의식이다. 탑돌이를 할 때에는 오른쪽 어깨가 탑을 향하게 하면서 돈다.

석가모니는 보리수(菩提樹, bo-tree) 아래에서 해탈(解脫)하기 전까지는 호화로운 환경에서 자랐다. 그러나 해탈 후 금욕주의자로 지내며 수행을 쌓았다. 불교 초기 승려(僧侶)들은 먹고 사는 데 억매이지 않고 수행에만 전념하기 위하여 걸식(乞食)을 했다. 또한 걸식은 대중들에게 공양(供養)할 기회를 줌으로써 복을 쌓도록 하는 의미도 있었다. 불교 계율(戒律)의 1/3은 탐식(貪食)을 경계하는 내용이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