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봄 낙산사③] ‘해수관음상’을 등지고 ‘독도’를 바라보다

[아시아엔=편집국] 인터넷 백과사전에서 ‘낙산사 해수관음상’을 쳤다. 따로 나오는 것은 없고 ‘낙산사’ 편에 그에 대한 설명이 있는데 요약하면 이렇다.

“화강암으로 다듬은 동양 최대의 해수관음입상(海水觀音立像)을 조각하였는데, 석재는 전라북도 익산의 호남 채석장에서 반입한 것으로 750톤이 소요되었다. 조각가 권정환에 의해 1972년 5월 착수되어 5년 만인 1977년 11월 6일 점안(點眼)되었다.

높이 16m, 둘레 3.3m, 좌대 넓이 6㎡이며, 좌대의 앞부분은 쌍룡상(雙龍像), 양 옆으로는 사천왕상이 조각되어 있고, 그 위 한 송이 연꽃으로 된 연봉(蓮峰) 위에 관음보살상을 안치하였다.

관음상은 왼손에 감로수병을 받쳐들고, 오른손은 천의(天衣) 자락을 살짝 잡고 있으며, 미간에는 백호(白毫)를 박아 온누리에 퍼지는 자비의 광명을 상징하고 있다. 크기와 원만한 상호(相好, 부처님 얼굴), 균형 잡힌 체감미 등이 근래에 보기 드문 수작(秀作)이다.”

백과사전엔 해수관음상 아래 복을 빌어주는 두꺼비 설명은 없다. 돌두꺼비를 몇 번 만지면 복이 온다는 설명을 듣고 ‘즉각 실행에 옮긴’ 기자들이 포즈를 취했다. “저 앞에 보이는 게 바다냐”고 한 기자가 묻는다. “동해바다라고 하는데, 독도를 지나 태평양으로 연결된다”고 답했더니 금세 질문이 되돌아온다. “한국이 요즘도 일본과 독도문제로 다투느냐?”고. 아무 대답도 하지 않자, 그는 “김치~”하고 씩 웃었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