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홀로족의 혼밥①] 혼술·혼영·혼놀은 박근혜의 주특기?

dscn1629

[아시아엔=박명윤 <아시아엔> 논설위원, 한국보건영양연구소 이사장, 서울대 보건학박사회 고문] 박근혜 대통령은 공식 만찬행사가 없을 때는 청와대 대통령 관저에서 혼자 TV를 시청하면서 저녁 식사를 했다고 한다. ‘혼밥’ 대신에 사회 각계각층 원로를 비롯해 여야 정치인들과 자주 만찬을 하면서 소통을 했다면 ‘최순실 게이트’와 같은 사건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지 않았을까 싶다.

지난 9월 말경 저녁식사 모임에서 김동길 전 연세대 부총장은 전직 대통령들은 자신을 만찬에 초대했는데, 박근혜 대통령은 한번도 없었다고 전했다.

현대인은 하루에 세 끼 식사를 한다. 즉 아침 조찬, 점심 오찬, 그리고 저녁 만찬으로 3식이다. 그러나 조선시대 우리 선조들은 하루에 2끼 식사를 하였으며, 노동력이 많이 필요한 농번기에는 3끼 식사를 하였다. 한편 임금은 하루에 5-6식을 하였고, 비만으로 당뇨병, 고지혈증, 고혈압 등 성인병으로 고생하다가 단명으로 세상을 떠난 왕들이 많았다.

과거에는 사회적으로 따돌림 받는 사람이나 괴짜 취급받는 사람들은 혼자 밥을 먹었다. 이에 다른 사람 시선을 의식해 혼자 밥 먹는 걸 두려워하고 굴욕감을 느끼기도 했다. 그러나 요즘은 혼밥(혼자 밥 먹기), 혼술(혼자 술 마시기), 혼영(혼자 영화보기), 혼놀(혼자 놀기) 등 홀로 생활양식이 하나의 사회현상(social phenomenon)이 되고 있다.

예전에는 ‘궁상을 떤다’는 핀잔을 듣거나, ‘친구가 없다’며 사교성에 의문을 제기했던 ‘나홀로족’이 최근에는 ‘혼자만의 여유로운 시간’ ‘경제적 부담’ 등의 이유로 나홀로 문화가 자연스럽게 인정받고 있는 분위기다. 20-30대 젊은층은 그룹으로 몰려다니면서 밥을 먹거나 술을 마시는 것보다 혼자 조용히 자신만의 시간을 즐기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요즘 ‘혼자’ 하는 것들이 유행하고 있지만 사춘기(思春期) 청소년들은 입장이 다르다. 즉 ‘또래문화’가 중요한 청소년들은 자신이 친구들과 어울리지 못하고 있다고 느낀다. 또한 주변 사람들이 “너 왜 혼자 밥을 먹냐, 너 왕따냐” 이런 식으로 안 좋게 보는 시선들이 많다.

10대 청소년들이 밥을 혼자 먹는 비율은 21%에 달하며, 주된 이유는 학교와 학원 때문에 가족, 친구들과 함께 할 시간이 없어서란 것이 가장 많다. 이에 가족, 친구들과의 소통단절은 청소년들에게 우울감과 불안감으로 이어질 수 있다. 친구들과 교감하면서 즐거운 분위기 속에서 자신을 표현하는 일들이 생기는 데, 그런 경험이 없이 사회에 나가면 같은 상황이 이루어져 외로움을 느끼며 살아가야 하는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다.

‘혼자족’을 직접 체험한 한 신문사 기자의 말은 체험기간 동안 편안함과 외로움을 동시에 경험했지만 그 무게는 외로움에 더 기울어져 있었다고 한다. 자발적 체험자도 이런 상황이므로 비자발적 혼자족들의 마음을 유추할 수 있다.

 

One comment

Leave a Reply to 조재훈 Cancel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