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거인 알리바바 마윈 ?] 롤러코스터 중국증시···’마윈 따라 묻지마 투자’ 시험대에

[아시아엔=안동일 동북아 연구가] 7월 마지막 주가 시작 된 27일 중국 증시가 또다시 8% 넘게 급락하면서 상하이종합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8.5% 하락한 3725.56에 장을 마쳤다. 하루 낙폭으로 보면 2007년 2월 이후 8년 5개월 만의 최대치다.

전문가들은 원자재 가격의 급격한 하락과 중국 경기 약화, 중국 정부의 증시 부양책 철회 등의 우려가 증시 급락 원인이 됐다고 평가했다. 중국의 7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잠정치가 15개월 만에 최저치로 떨어진 것에서 볼 수 있듯이 중국 경제의 펀더멘털은 좋지 못한 것으로 파악되면서 장기적으로 보면 이번 급락 역시 중국 경제가 처한 상황에 걸맞게 조정을 받은 것이라는 분석이 설득력을 갖는다.

그동안 고평가됐던 종목, 특히 이른바 테마주들에 대한 ‘옥석 가리기’가 심도있게 진행되고 있다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단기조정보다 중장기 여파가 클 것이라는 의견도 제기된다. 롤러코스터가 더 기다리고 있다는 얘기다.

그동안 중국 증시는 과열을 넘어 부글부글 끓고 있었다는 표현이 맞을 정도다. 상하이며 베이징 등 주요도시에서는 증시로 한몫 벌어보겠다는 개인들이 하루 수십만개씩 증권계좌를 새로 개설했고 초보 투자자들이 길거리에서 주식 수업을 듣는 진풍경도 벌어졌다. 중국인들이 주식시장을 ‘투자’가 아닌 ‘투기’로 생각하고 있다는 미국 유명 대학의 조사 결과까지 나왔다.

이같은 열풍의 진원지는 따져보면 자신이 아무리 부인한다 해도 알리바바의 마윈 회장이다. 증시를 통해 세계적인 대박을 터뜨린 우리 옆집 못난이 신데렐라 아닌가. 롤러코스터를 타기 직전까지도 마윈을 따라하기만 하면 대박을 친다는 얘기가 정설이었다. 6월 중순만 해도 마윈 회장을 따라 홍콩 증권사 루이둥(瑞東)그룹 주식을 저가에 장외 매입한 마 회장인 지인인 스위주(史玉柱) 쥐런네트워크 회장과 유명 배우 자오웨이 부부 등이 며칠 새 수조원을 벌었다고 대서특필 됐었다.

마윈 테마주로 불리는 A주 상장기업 21개 가운데 15개 기업 주가가 올들어 평균 두배 넘게 상승했었다. 그러니 중국 증권가에는 “마윈과 관련된 주식은 무조건 오른다”는 새로운 공식이 생길 정도였다.

홍콩거래소에 상장된 엔터테인먼트 회사 톈마(天馬)만 해도 지난달 알리바바와 협력할 것이라는 루머로 하루새 15% 상승했지만, 다음날 회사가 사실무근이라 밝히면서 다시 20% 폭락했다. 결국 개미 투자자들이 이렇게 맹목적으로 테마주에 뛰어드는 탓에 미리 주식을 사뒀던 부자들의 배만 불리는 형국이었다.

증시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의 근본 원인으로 중국 정부에 대한 신뢰감 저하, 즉 펀더멘탈의 취약으로 그동안 과도하게 낀 거품을 지목하고 있다. 이를 회복하는데 다소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어 추가 조정이 불가피하다는 견해가 유력하다.

그동안 뚜렷한 경기회복 없이 정책 모멘텀에 따른 경기 회복 기대감을 반영해 왔는데 최근 증시 조정은 현실적인 괴리의 결과물로 판단된다는 것이다. 실제로 중국 증시는 올해 들어 이해할 수 없는 큰 폭의 변동성을 나타냈다. 상하이 증시는 올해 상반기 60% 급등세를 보였고, 6월 5000선을 넘은 이후 30% 이상 폭락했다.

이렇게 증시가 롤러코스터를 타면 녹아나는 것은 막차에 올라탄, 말하자면 상투를 잡은 개미들이다. 앞서 언급했듯이 현재 중국에선 담보를 잡고 대출을 받아서 투자를 하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에 증시가 급락하면 담보 가치도 함께 하락해 디폴트(채무불이행) 위험이 존재한다.

이 때문에 중국 정부가 즉각 나서 여러 증시부양 조치를 발표해야 했다. 정부의 이같은 행보는 7월27일 다시 급락하기 전까지 증시를 어느 정도 안정시킨 듯한 모습을 보였다. 그러면서 이번 주가폭락의 배후로 마윈과 그의 주식투자 자문회사인 헝성전자가 지목됐던 것이다.

기대가 크면 실망도 큰 법. 실망은 분노와 미움을 낳는 모양이다. 이 회사의 중국어 원문은 恒生電子다. 그간 마윈이 손 뻗은 기업의 스펙트럼에 놀랄 뿐이다. 2014년 마윈은 자신이 장악하고 있는 저장금융신탁(浙江融信網絡技術有限公司)을 통해 헝성전자의 주식을 사들였다. 당시 헝성전자 주식 매입가는 약 40억 위안이었다.

인수 당시 마윈 회장의 헝성전자에 대한 실질 지분율은 20.62%였다. 헝성전자에 대한 의혹은 마윈에 대한 의혹이자 길들이기의 일환으로 보인다. 앞으로 어떤 결과 발표가 있을지 주목 된다.

전문가들은 이번 롤러코스터가 막차가 아니라고 분석하고 있다. 펀더멘탈의 개선 없이는 워낙 거품이 많이 끼어 있기에 등락과정을 좀 더 이어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동요를 막기 위해 중국 당국이 유동성 확대, 신규대출 확대, 금리인하 등의 추가 증시부양 조치를 내놓을 가능성이 큰 만큼 지금과 같은 큰 파도가 밀어닥칠 가능성은 낮다는 견해도 있다.

다수 전문가들은 중국 정부에 대한 시장의 신뢰성은 낮은 편이지만 중국 정부의 시장 장악력과 유동성 운용의 폭은 여전히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실제 증권금융공사에 대한 1차 자금지원이 1조5000억 위안이었는데 추가 지원 가능성이 여전히 존재한다는 것이다.

중국현지에서 은행들이 증권금융공사의 자금지원에 대비해 비축한 자금은 상당한 것으로 전해져 있다. 전문가들은 중국증시의 적정 최저점은 주가순자산비율(PBR)의 2.10배인 3509포인트로 보고 있다. 단기적으로 이 수준을 밑돌 가능성도 있지만 정부의 시장장악력이 유지된다면 종국에는 4000포인트를 기점으로 박스권장세가 유지될 전망이라고 보고 있다. (계속)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