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덕권의 훈훈한 세상] ‘사자방’ 시대에 행복한 삶을 누리는 법

[아시아엔=김덕권 원불교문인회 명예회장] 요즘 부패를 척결한다고 온 나라가 뒤숭숭하다. 대표적인 비리로 떠오른 것이 ‘사자방’이다. ‘4대강사업’ ‘자원외교부실’ ‘방위산업 부정’ 등이다. 그에 따라 포철, 석유공사, 광물자원공사 등의 비리는 마치 고구마 줄기처럼 뽑아져 나온다. 왜 그랬을까? 인간의 탐욕 때문이다.

기원전 6세기 페르시아 키루스 왕은 아케메네스제국 다리우스 2세의 왕자였다. 혁신이 없으면 승리도 없다는 생각의 소유자 키루스의 혁신은 철저한 자기훈련에 기초를 두고 있었다. 그는 어릴 때부터 또래보다 고난을 더 잘 견뎠고, 부친의 교훈을 따라 어른들을 공경했으며, 권위를 존중할 줄도 알았다.

그는 치솟는 욕망을 제어하고 방종을 피했다. 술을 마시지 않았고, 과식하지 않았으며, 군살 없는 강인한 체력을 유지하고자 애썼다. 그는 재물을 축적하지 않고 측근들과 나누는 데 힘썼다. 조직을 이끌 때 부드럽고 활기차게 만들어 연대감을 높였다. 그리고 최하층민일 지라도 과업을 잘 수행하기만 하면 조직의 일원으로 자존감을 가질 수 있게 해주었다.

키루스는 용기와 지혜를 넘어 관대한 자비와 겸손한 신앙까지 갖춘 군주였다. 그런데 키루스왕의 인생은 여기까지가 최고의 삶이었다. 왜냐하면 그도 어쩔 수 없는 정복자로 과욕과 과신의 덫에 걸리고 만 것이다. 키루스 대왕은 페르시아제국의 영토를 서남아, 중앙아시아, 인도에 이르기까지 넓혔고, 4천km에 달하는 대제국을 건설했다.

만년에는 기마민족 계열의 마사게타이족 정벌에 나서 처음에는 파죽지세로 몰아 다 이긴 전쟁을 더 많은 땅을 차지하기 위하여 전진하였다. 그러나 복수의 칼을 갈고 있던 마사게타이족의 분노에 걸려 결국 전쟁에서 패하고 만다. 과욕으로 인해 결국 그 많은 땅을 확보하고도 전쟁터에서 모든 군대를 잃고 자결하고 말았다.

최고의 삶이란 무엇인가? 욕심을 버리고 마음을 비우면 된다. 어떤 방법으로 마음을 비울까? 정답은 없다. 단지 어떤 방법이든 간에 마음을 비우겠다는 일념으로 꾸준히 노력하다 보면 틀림없이 좋은 결과가 올 수 있다. 그것을 우리는 마음공부 또는 수행이라 한다. 마음을 비운다는 것은 무념무상 또는 무심의 상태로 만드는 것이다. 이것은 부정적인 생각은 물론 긍정적인 생각마저 버린 즉, 희로애락을 초월한 상태다.

인생은 고락이 반반이라 했다. 그러나 마음먹기에 따라 즐거움이 괴로움이 될 수도 있고 또한 괴로움도 즐거움이 될 수 있다. 괴로움을 괴로움으로 여기지 않을 때 즐거움이 될 수가 있고 즐거움을 즐거움으로 느끼지 못할 때 괴로움이 될 수도 있다. 괴로움이나 즐거움은 생각하기 나름이고 행복이나 불행도 이와 마찬가지다. 마음을 비우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모든 탐욕을 놓아버려야 한다. 마음을 요란하지 않게, 어리석지 않게, 그르지 않게 쓰는 것이다. 이것이 ‘더 좋은 삶’을 너머 ‘최고의 삶’을 영위하는 것이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