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책임, 부담 아닌 ‘기회’로 여겨라

기부·기여 넘어 ‘사회적 책임’으로 접근, ‘사회공헌3.0’ 시대 개막

한국 기업들은 ‘사회공헌’ 활동을 하면 ‘사회책임’을 다하는 것이라고 오해하는 경향이 많으며, ‘사회공헌’ 활동을 기부나 자선활동으로 좁게 이해하는 경향이 짙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또 ‘사회책임’을 다하는 기업들은 재무적 측면에서 성과는 물론 비재무적 측면에서 기업명성(Corporate Reputation)도 함께 좋아져 시장가치와 경쟁력이 높아진다는 지적도 나왔다.

환경 및 지속가능경영 컨설턴트인 SR코리아의 황상규 대표는 17일 “사회공헌은 ‘기부와 자선’의 1단계와 사회적 기업이나 1사1촌 운동 등 ‘사회적 기여’의 2단계를 거쳐 ‘사회책임’의 3.0단계로 접어들었다”면서 이 같이 밝혔다.

황 대표는 이날 오후 2시부터 서울 신문로 2가 ‘숲 연구소’에서 개최한 ‘ISO26000 원리에 기반한 사회공헌 3.0 추진전략 세미나’에서 기조발표를 통해 “조직(기업)의 결정과 활동이 사회와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투명하고 윤리적인 행동을 통해 조직(기업)이 지는 책임이 바로 ‘사회책임’”이라고 정의했다.

그는 특히 “지구촌이 합의한 ‘사회책임 가이드라인’인 ISO26000에 근거해 사회공헌 3.0 시대를 본격적으로 열 시점”이라고 전제, “앞서 주주이익 경영에서 ‘이해관계자 중심’으로 추세가 바뀌고 있다”며 “세계 각국 정부가 ‘사회책임’을 중시해 지구촌 표준으로 ISO26000을 제정했다”고 설명했다.

ISO26000은 국제표준화기구(ISO)가 제정한 ‘사회책임’기준으로, 정부와 기업 등 모든 조직이 준수해야 할 ▲조직의 지배구조 ▲인권 ▲노동 ▲환경 ▲공정거래 관행 ▲소비자 이슈 ▲지역사회 참여 및 발전 등 7개 분야의 ‘사회책임’ 관련 사항 및 이행방법 등을 제시하고 있다.

지난 2001년 처음 제안돼 2005년 1차 총회와 2010년 8차 총회(덴마크 코펜하겐)를 거치면서 70여 개국의 전문가, 이해관계자의 의견수렴을 통해 93%의 압도적인 지지로 채택됐다.

각 나라의 표준화 기관(한국의 경우 지식경제부 산하 기술표준원)은 ISO26000의 확산과 합리적 적용에 힘쓰고 있다. 지난 2010년 11월 국제표준(IS) 규격이 발행되면서, 한국은 KSA ISO26000으로 발행한 상태다. 각 나라별로 기업·정부·노조·소비자단체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그룹이 이 이니셔티브에 참여하고 있다.

황 대표는 “ISO26000은 제대로 활용하면 기업 등 조직의 명성을 드높일 ‘기회’이지만 무시했다가는 무역장벽을 자초하는 ‘위험’요인으로 작용한다”며 “특히 기업들은 자신들의 가치를 높이는 경영전략의 일환으로 접근할 때”라고 말했다.

지난 2008년 9월 칠레 산티아고에서 열린 ISO26000 제 6차 총회에 각 부문 전문가들이 모여 지구촌 사회책임 기준을 만들었다. 왼쪽부터 강충호 국토해양부장관 보좌관(전 한국노총 본부장, 노동), 김종열 유한킴벌리 국제표준 담당이사(2010년, 산업계), Jorge E.R.Cajazeira ISO26000 의장,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 백철규 과장, 황상규 SR코리아 대표.

한편 2012년 현재 한국 기업들 대부분은 전반적으로 ISO26000과 같은 사회책임 글로벌스탠다드에 대해 무감각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경제력에 걸맞는 합리적인 지배구조를 갖추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지난 2011년 한국의 대한상공회의소가 매출액 상위 100대 한국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신(新)무역장벽 ISO26000에 대한 기업 인식 조사’ 결과에 따르면 대응전략을 갖고 있다는 기업은 4.9%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기업의 지배구조는 인도네시아와 필리핀을 제외한 모든 나라의 기업들의 지배구조보다 뒤쳐진 것으로 타나났다. 한국인들이 ‘후진성’을 지적하면서 무시하고 있는 중국이나 말레이시아 기업들보다도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0년 10월 아시아기업지배구조협회와 다국적 증권사 CLSA(크레디리요네 증권)가 아시아 11개국 580개 기업들을 분석한 ‘아시아기업 지배구조 평가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조사대상 11개국 중 9위를 기록했다.

기업지배구조란 기업의 주요 의사결정을 설명할 책임이 있고, 투명해야 한다는 개념이다. 기업의 이해관계자인 주주와 종업원, 소비자, 공급사슬 등의 이해관계를 반영하는 한편 의사결정자의 권위와 책임, 능력 수준의 균형을 유지하라는 것이 핵심 내용이다.

이상현 기자? coup4u@theasia.asia

One comment

Leave a Reply to SangKyu Hwang Cancel reply